RTL(오른쪽에서 왼쪽) 언어 지원을 위한 UI 레이아웃 미러링 및 현지화 전략

🤖 AI 추천

이 콘텐츠는 글로벌 사용자를 위한 제품을 디자인하는 UI/UX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 디자인 시스템 담당자 및 인터랙션 디자이너에게 필수적인 가이드입니다. 특히, 다국어 지원 및 국제화(i18n)를 고려해야 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레벨의 디자이너에게 유익합니다.

🔖 주요 키워드

RTL(오른쪽에서 왼쪽) 언어 지원을 위한 UI 레이아웃 미러링 및 현지화 전략

핵심 디자인 컨셉

이 콘텐츠는 전 세계 2억 명 이상이 사용하는 RTL(오른쪽에서 왼쪽) 언어 사용자를 위해 UI 레이아웃을 효과적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단순한 텍스트 방향 전환을 넘어선 포괄적인 미러링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디자인 방법론 및 원칙

  • RTL vs LTR 이해: LTR(좌에서 우) 언어와 RTL(우에서 좌) 언어의 기본적인 텍스트 흐름 및 방향성 차이를 명확히 인지합니다.
  • 미러링(Mirroring)의 적용: 레이아웃, 텍스트 정렬, 아이콘, 내비게이션 요소 등 UI의 수평적 요소들을 RTL 환경에 맞게 뒤집어 배치하는 원칙을 적용합니다.
  • 텍스트 렌더링: 텍스트의 정렬(Alignment)과 방향성(Directionality)을 RTL 언어에 맞게 오른쪽 정렬 및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흐름을 지원합니다.
  • 예외 사항 식별: 모든 요소가 미러링되는 것은 아니며, 그래프, 차트, 특정 아이콘(예: 히브리어 타임라인)과 같이 LTR 방향성을 유지해야 하는 예외적인 컴포넌트를 명확히 구분합니다.
  • UI 컴포넌트별 미러링 가이드:
    • 이메일, URL: 도메인과 사용자 이름의 순서를 유지하고, 커서 위치를 고려합니다.
    • 방향성 아이콘: 뒤로 가기, 앞으로 가기와 같은 방향성 아이콘은 미러링합니다.
    • 진행 표시기: 선형 프로그래스 인디케이터는 RTL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되지만, 원형은 시계 방향으로 유지됩니다.
    • 시계: 시간의 선형 표현은 LTR을 따르나, 12시간제 시계의 AM/PM 표시는 왼쪽에 배치합니다.
    • 레이아웃 패턴: 리스트-디테일, 피드, 서포팅 패널 등의 레이아웃은 RTL 환경에서 미러링합니다.
    • 앱 바, 툴바, 내비게이션: 툴바의 순서, FAB 위치, 앱 바의 아이콘, 내비게이션 드로어/레일의 선행 가장자리 배치를 RTL에 맞게 조정합니다.
    • 텍스트 필드, 칩: 선행/후행 아이콘의 위치를 LTR/RTL 문맥에 따라 조정합니다.
  • 제스처(Gesture) 미러링: 스와이프 동작 및 제스처 역시 LTR과 동일한 기능이 RTL에서도 수행되도록 미러링합니다.

디자인 임팩트

  • 사용자 경험 향상: RTL 언어 사용자의 인지적 부담을 줄이고, 직관적인 탐색 경험을 제공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높입니다.
  • 제품 접근성 강화: 글로벌 시장의 다양한 언어권 사용자들이 불편함 없이 제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 디자인 시스템 완성도 제고: 디자인 시스템의 포괄성과 견고함을 증대시켜, 다양한 언어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업계 반응 및 트렌드

톤앤매너

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복잡할 수 있는 RTL 디자인 원칙을 체계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하여 실무 적용을 돕는 정보 전달 중심의 톤을 유지합니다.

📚 실행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