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FEConf 참관 후기: React Native 성능 최적화부터 모노레포 해체까지
🤖 AI 추천
프론트엔드 개발자, 특히 React Native를 사용하며 성능 개선 및 아키텍처 고민이 있는 개발자, 또는 모노레포에서 폴리레포 전환을 고려하는 개발자에게 유익합니다. 최신 CSS-in-JS 트렌드와 SEO 전략에 대한 인사이트도 얻을 수 있습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2025 FEConf의 주요 세션을 통해 React Native 성능 최적화, 비용 효율적인 OTA 시스템 구축, 차세대 CSS-in-JS, SEO 전략, 대용량 데이터 처리, 모노레포 해체 등 프론트엔드 개발의 최신 트렌드와 현업의 실질적인 고민을 다룹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React Native 성능 최적화:
* RAM, Views, UI/JS Thread FPS 지표를 통한 성능 측정 및 분석
* 불필요한 리렌더링 방지를 위한 상태 관리 (Jotai 등 원자 단위 라이브러리 활용)
* Prop Drilling 대신 전역 상태 관리
* 가상화 리스트 컴포넌트 (FlatList, SectionList) 필수 사용
* JSI를 통한 동기적 JS-네이티브 통신
* Reanimated & Skia를 활용한 UI 스레드 애니메이션
* Lottie 애니메이션 최적화 (Lottie optimizer, Rive 활용)
* 비용 효율적인 OTA 시스템 구축:
* CodePush 대안으로 hot-updater
오픈소스 솔루션 소개
* 기존 CodePush의 인프라 종속성, 유연성 부족 문제점 해결
* 자유로운 클라우드 인프라 선택 (Supabase, Firebase 등)
* UUIDv7 기반 업데이트 체크 및 롤백 대응
* expo-router
와의 호환성 및 네이티브 빌드 버전 체크
* 셀프 호스팅 (AWS S3, Vercel + Next.js)을 통한 저렴한 OTA 환경 구축
* 차세대 CSS-in-JS: '제로 런타임' CSS-in-JS 트렌드 소개
* DevUp-UI: 빌드 시점에 스타일을 순수 CSS로 정적 추출
* Rust/WASM 기반 빠른 파서로 개발 경험(DX) 향상
* CSS 변수를 활용한 동적 스타일링 (responsive, conditional)
* 중복 스타일 제거 및 단일 CSS 파일 번들링
* 색상 코드, 단위 최적화를 통한 용량 감소
* CSS 모듈 연동 및 지속 가능한 업데이트 시스템
* SEO 전략:
* 웹의 가치 퍼널 (검색 노출 → 유입 → 전환) 이해
* 검색 노출 증대: 크롤링 버짓 확보 (LCP 개선), 명확한 링크 구조 (<a>
태그, robots.txt)
* 클릭률 증대: 매력적인 미리보기 (메타데이터, 시맨틱 마크업), 구조화된 데이터 (JSON-LD)
* 권위 및 신뢰 향상: 코어 웹 바이탈 (LCP, FID, CLS), 링크 관리 (SNS 활용)
* 구글 코어 업데이트 영향 및 실무 팁 공유
* 대용량 데이터 처리 (GPGPU):
* GPU 병렬 처리 능력을 일반 계산에 활용하는 GPGPU 기술
* 브라우저에서의 WebGL/WebGPU API 활용
* DuckDB-Wasm 등 웹어셈블리 기반 기술과의 시너지
* CPU vs GPU 실시간 데이터 필터링 성능 차이 시연
* LLM 활용 시 WebGL2 언급의 중요성
* 모노레포 해체 (Polyrepo 전환):
* 초기 yarn workspace, Turborepo 기반 모노레포 운영의 한계
* 복잡한 도메인 및 깊은 의존성으로 인한 변경 추적 어려움
* 도메인별 폴리레포 분리를 통한 코드베이스 관리
* 패키지 간 명확한 경계 설정, 팀 자율성 및 배포 안정성 증대
* 사용되지 않는 공용 모듈 정리 경험 공유
개발 임팩트: React Native 앱의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성능 최적화 기법들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MS 앱센터 종료에 따른 OTA 업데이트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최신 CSS-in-JS 트렌드를 통해 더 효율적인 스타일링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SEO 전략은 비즈니스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GPGPU는 프론트엔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능력의 한계를 넓힙니다. 모노레포 해체는 대규모 프로젝트의 유지보수성과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중요한 아키텍처 결정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발표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동료 개발자들에게 의견을 구하는 긍정적인 반응이 있습니다. (예: "회사 대표님이 직접 프레젠테이션 발표해서 그런지 발표의 정석을 보여주셨어요!", "키즈노트에서 Lottie로 인해 렌더링 및 CPU 발열 이슈가 발생했던 경험이 있는데, Lottie Optimizer를 미리 알았더라면 더 나은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었을 것 같아 아쉬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