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React Native 컨퍼런스 둘째 날: 웹 컨버전스, OS 통합, 성능 최적화 및 미래 전망
🤖 AI 추천
React Native 개발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모바일 앱 개발자, 웹 개발자, 그리고 크로스 플랫폼 개발 전략에 관심 있는 모든 IT 전문가에게 이 콘텐츠는 2025년 React 생태계의 최신 동향과 미래 발전 방향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특히 React Native의 기능 확장, 웹과의 통합, 새로운 OS 지원, 개발 생산성 향상 방안에 대한 깊이 있는 정보를 얻고자 하는 개발자들에게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2025년 React Native 컨퍼런스 둘째 날 발표는 React Native의 기능 확장, 웹과의 강력한 통합, 새로운 OS 지원, 개발 생산성 향상에 집중하며 크로스 플랫폼 개발의 미래를 제시했습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React Native Keynote:
- React Native 다운로드 100% 성장 (주간 400만), 0.82 릴리스에서 New Architecture 기본 활성화 및 Hermes V1 실험 지원.
- 웹 컨버전스를 위한 React Strict DOM 및 DOM APIs 추가, Shopify/Starlink 등 성공 사례 공유.
- Expo SDK 54, DevTools 성능 패널 강화, Vega OS 내장으로 미래 플랫폼 확장.
- React Native, Amplified:
- Amazon의 Vega OS: React Native 내장 Linux 기반 OS, Fire TV 등 디바이스 지원으로 30% 자원 효율 향상.
- React Native for Vega (
@amazon-devices/react-native-kepler
)로 앱 간 라이브러리 공유, 10-12MB 저장 공간 절약. - Vega Developer Tools Public Beta, Rock 등 포팅 지원, AI 도구(Amazon Q, Kiro)로 개발 가속화.
- React Strict DOM:
- 웹과 네이티브 간의 단절을 해결하기 위한 HTML/CSS polyfill로 단일 React UI 구축 ("Learn Once, Write Once").
- Meta Facebook VR 앱에서 웹 코드 60% 공유 성공, 네이티브 성능 2.5배 개선.
- 미래: DOM API 63% 지원 확대, 크로스 플랫폼 애니메이션/스타일링 통합, AI 학습 최적화.
- Reimagining Lists in React Native:
- Blanking List 문제 해결을 위한
<VirtualView />
실험, 동기/비동기 렌더링 우선순위 제어. - Virtual Collections으로 가상화 리스트 최적화, visible/prerender 모드 분리, 0.83 릴리스 문서화 예정.
- New Architecture 기본화로 모바일 UI 프레임워크 수준 성능 향상, 커뮤니티 피드백 요청.
- Blanking List 문제 해결을 위한
- React Everywhere: Bringing React Into Native Apps:
- WebView 한계 극복을 위해 React Native Brownfield: 기존 네이티브 앱에 RN 뷰 점진적 삽입.
- Rock 도구로 RN 앱 AAR/XCFramework 번들링, react-strict-dom/Nativewind로 universal 코드 공유.
- 단일 팀 ownership, WebView → RN 마이그레이션 전략으로 cross-platform 효율성 극대화.
- How Parcel Bundles React Server Components:
- Parcel v2.14 RSC 지원: 서버/클라이언트 module graph 통합,
"use client"
지시어로 proxy 생성 및 preload 자동화. - Network Waterfalls 제거, 서버 dynamic import zero latency, CSS side effect 처리, code splitting 최적화.
- Bundler 레이어로 framework 독립적 RSC 구현, SSR 선택적 적용으로 성능/유연성 향상.
- Parcel v2.14 RSC 지원: 서버/클라이언트 module graph 통합,
- Designing Page Transitions:
- View Transitions API로 server-rendered 페이지 간 애니메이션,
<ViewTransition />
로 opt-in, 기본 crossfade 제공. - Next.js Custom Link로 방향/공유 요소 커스터마이징, motion blur/easing으로 polished UX.
- Browser pseudo-elements로 고성능 static image 애니메이션, React coordination 위임으로 개발 간소화.
- View Transitions API로 server-rendered 페이지 간 애니메이션,
- Build Fast, Deploy Faster—Expo in 2025:
- Expo SDK 54: React Compiler 기본, liquid glass 등 네이티브 효과 즉시 통합, 4배 빠른 EAS Build.
- EAS Deploy/TestFlight 자동화로 5분 배포, Expo Launch one-click App Store 런치.
- 네이티브 CSS 지원 (Tailwind 호환), AI Copilot 데모로 40초 Pokédex 앱 생성.
- The React Router take on RSC:
- Vite plugin으로 RSC 활성화, 기존 앱 점진적 도입: loader → async Server Component 변환.
- Nested routes 독립 RSC 적용, Server Actions로 form/action 단순화,
"use client"
주의. - Type-safe 라우팅/데이터 로딩, 클라이언트-서버 혼합 지원으로 full-stack 유연성.
- RedwoodSDK: Web Standards Meet Full-Stack React:
- Vite 기반 web standards 프레임워크: route functions, interrupters/middleware, Cloudflare Workers 최적화.
- Server-first RSC 스트리밍, WebSockets real-time, no-JS SSR → hydration → View Transitions 지원.
- pnpm release one-command deploy, Durable Objects/DB 통합으로 complete document control.
- TanStack Start:
- Client-first full-stack: TanStack Router 기반 type-safe 라우팅/데이터 로딩, SSR 토글 가능.
- CLI로 앱 생성, server functions/middleware, API routes 파일 기반, add-ons(Prisma/Neon) 통합.
- SPA 패턴 유지하며 full-stack 업그레이드, 커뮤니티 주도 개발로 React 생태계 안정성 강조.
- What's The Framework of the React Future?
- 패널 토론: Next.js (Partial Prerendering), Remix (RSC 필수), Expo (유니버설), TanStack Start (type-safe) 등 수렴 추세.
- AI/LLM 통합: 로컬 모델, MCP 프로토콜, 스트리밍 SSR로 개발/배포 혁신.
- React Foundation 비전: 프레임워크 메타 수렴, signals/외부 스토어, 세밀 성능 제어 필요.
- Async React (continued):
- Synchronous TODO 앱 문제 해결: Transitions/Suspense/useOptimistic으로 janky UX 개선, View Transitions 애니메이션.
- action props 패턴 (React 19): 자동 transition/mutation 처리, 로딩 상태 내장.
- Async React WG: router/데이터/디자인 표준화, 선언적 async 아키텍처로 AI/인간 친화적 UX.
개발 임팩트
- 향상된 성능 및 효율성: New Architecture 기본화, Hermes V1 지원, Vega OS 통합, Parcel의 RSC 번들링 최적화 등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성능과 자원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입니다.
- 웹과 네이티브의 통합 강화: React Strict DOM, React Native Brownfield와 같은 기술은 웹 코드와 네이티브 코드를 더욱 유연하게 공유하고 통합할 수 있게 하여 개발 생산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입니다.
- AI 및 신기술 적용 가속화: AI 도구(Amazon Q, Kiro), React Compiler 기본 탑재, AI Copilot 데모 등은 개발 과정을 혁신하고 새로운 기능 구현을 가속화할 것입니다.
- 개발 경험 향상: Expo SDK 54의 빠른 빌드 및 배포, View Transitions API, Server Actions 등은 개발자 경험을 크게 개선하고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크로스 플랫폼의 미래: Vega OS, Universal Expo, React Everywhere 등은 React 생태계가 모바일, 웹, 데스크톱, 임베디드 시스템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커뮤니티 반응
- 커뮤니티는 New Architecture의 기본 활성화와 React Strict DOM을 통한 웹/네이티브 통합에 큰 기대를 보이고 있습니다.
- Expo의 빠른 빌드 및 배포 기능 강화, AI 도구 통합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예상됩니다.
- RSC를 다양한 번들러(Parcel, Vite)에서 지원하는 추세에 대한 논의가 활발할 것입니다.
- Async React WG의 작업 결과물(Transitions, Suspense, useOptimistic)에 대한 실질적인 적용 사례와 피드백이 중요하게 다뤄질 것입니다.
📚 관련 자료
React Native
React Native의 핵심 라이브러리 및 프레임워크 자체를 다루는 저장소로, 컨퍼런스의 주요 발표 내용과 직결됩니다. New Architecture, Hermes, Vega OS 통합 등 모든 논의의 기반이 되는 프로젝트입니다.
관련도: 95%
Expo
Expo SDK 54, EAS Build, EAS Deploy 등 Expo 관련 발표 내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저장소입니다. 개발 생산성 향상, 배포 자동화, 네이티브 기능 통합 등에 대한 최신 정보와 코드 베이스를 포함합니다.
관련도: 90%
Next.js
React Server Components (RSC), Partial Prerendering, View Transitions API, Custom Link 등 Next.js와 관련된 발표 내용들을 이해하고 관련 최신 동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저장소입니다. RSC 지원과 SSR 전략에 대한 정보가 풍부합니다.
관련도: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