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s.dev: 웹 기반 90년대 스타일 GUI 앱 제작 API 플랫폼 소개 및 커뮤니티 반응 분석
🤖 AI 추천
새로운 웹 기반 개발 환경 구축에 관심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게임 개발자, 프로토타이핑 및 툴 개발 경험을 쌓고 싶은 미들레벨 이상의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90s.dev: 웹 기반 90년대 스타일 GUI 앱 제작 API 플랫폼
핵심 기술
90s.dev은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90년대 스타일의 GUI 애플리케이션 및 게임 메이커 툴을 제작할 수 있는 API 플랫폼입니다. HTML Canvas, WebGL2, Web Workers, TypeScript SDK, WASM 모듈 임포트 등을 활용하여 빠르고 확장성 높은 프로토타이핑 환경을 제공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웹 기반 동작: 브라우저에서 직접 실행되는 API 플랫폼.
- 90년대 GUI 스타일: 당시의 GUI 디자인 경험을 제공.
- API 중심: 게임 엔진이나 게임 메이커 자체보다는, 이를 만들기 위한 API 제공에 초점.
- HTML Canvas & WebGL2: 기본 렌더링 및 320x180 해상도, 60fps 게임 지원.
- Web Workers: 보안 및 성능 향상을 위한 앱 실행 환경.
- TypeScript-first SDK: 빠른 개발 및 프로토타이핑 지원.
- WASM 호환성: 다양한 언어로 빌드된 모듈 임포트 지원.
- 모듈 공유: GitHub 또는 NPM을 통한 앱 및 라이브러리 공유 및 로드.
- 자동 레이아웃 시스템: 수동 배치 및 리사이징의 번거로움 감소.
- 반응형 뷰 시스템: 속성 변경을 자동 감지 및 반영하는
watchable pointer
(ref
) 활용. - JSX 변환: 구현과 사용 분리를 위한 JSX 태그 규칙.
- 기본 제공 툴: 픽셀 아트, 스프라이트 제작 툴, 맵 에디터 등.
- 확장성: 누구나 음향/음악 편집 도구 등을 개발 및 공유 가능.
개발 임팩트
- 독창적인 웹 기반 개발 생태계 구축.
- 개발자들이 쉽고 빠르게 자신만의 게임 제작 툴이나 앱을 개발하고 공유할 수 있는 환경 제공.
- 레트로 감성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경험 제공.
- 오픈소스 철학 기반의 커뮤니티 협업 및 확장을 통한 기술 발전.
커뮤니티 반응
- 프로젝트의 독창성과 'bike shed' 비유로 극찬받으며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 일부 사용자는 출시가 너무 이르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나, 격려와 함께 향후 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표현했습니다.
- 레트로한 감성과 GUI 개발의 즐거움에 대한 공감이 많았습니다.
paint
앱의 미구현 기능에 대한 질문과 함께 90년대 감성 재현 성공에 대한 감탄이 있었습니다.- Firefox에서의
showDirectoryPicker
미지원 문제 및 사용법 혼란에 대한 피드백과 함께 Chrome 사용 권장이 나왔습니다. - PICO-8, TIC80, LOVE2D 등 기존 툴과의 비교 및 90s.dev의 포지셔닝에 대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 시작의 어려움과 미니 게임 제작 워크스루 필요성에 대한 요청이 있었습니다.
- 랜딩 페이지의 용어 일관성 부족에 대한 비판도 있었습니다.
- 감성적인 측면, 특히 폰트와 90년대 디자인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습니다.
- 16:9 비율보다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CRT 모니터의 독특한 감성을 선호하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 관련 자료
PICO-8
90s.dev는 PICO-8의 미니멀리즘 지향과 제한된 환경을 확장하고, TypeScript와 같은 현대적인 개발 도구를 도입하여 웹 기반으로 구현하려는 시도입니다. PICO-8의 개발 경험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높은 연관성을 가집니다.
관련도: 85%
love2d-framework
90s.dev는 LOVE2D와 비교될 때 TypeScript 지원과 웹 기반의 통합 환경을 제공하는 점이 특징입니다. LOVE2D가 외부 IDE를 필요로 하는 것과 달리, 90s.dev는 자체적인 API와 샌드박스 환경을 제공하여 개발 경험을 통합합니다.
관련도: 70%
React
90s.dev는 UI 개발에서 컴포넌트 기반 설계와 상태 관리를 위한 'watchable pointer'라는 자체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이는 React의 컴포넌트와 상태 관리 방식과 유사한 측면이 있으며, JSX와 같은 문법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관련성이 있습니다.
관련도: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