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에이전트 구축 원리와 LLM 기반 개발의 핵심 용어 및 실무 적용 방안
🤖 AI 추천
AI 에이전트 개발에 관심 있는 백엔드 개발자, 머신러닝 엔지니어, 그리고 LLM 기술을 활용하여 서비스 개발을 고려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추천합니다. 특히, AI 에이전트의 개념, 용어, 그리고 비결정적 환경에서의 개발 및 테스트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싶은 미들 레벨 이상의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이 글은 Sam Bhagwat의 "Principles of Building AI Agents"를 기반으로, GenAI 에이전트 구축의 핵심 원리와 관련 개발 용어들을 소개하며 실무 적용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GenAI 에이전트 개요: GenAI는 "Software 3.0"으로 불리며, LLM을 기반으로 메모리, 도구 접근, 컨텍스트 유지를 통해 작업을 수행하는 장기 실행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 주요 용어: LLM, Prompt, Token, Embedding/Vector, Context Window, Agent, MCP(Model Context Protocol), Tool(MCP), Resource(MCP), Prompt(MCP), A2A(Agent To Agent Protocol), RAG(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Vector Database, Agentic Workflow, Guardrail, Eval 등의 개념과 예시를 설명합니다.
- 비결정성(Non-determinism) 및 테스트: AI 에이전트 개발은 반복 가능하고 결정적인 동작을 추구하는 기존 소프트웨어 공학과는 달리, probabilistic한 특성으로 인해 새로운 도전 과제를 제시합니다. 이를 위해 'Eval'과 같은 평가 방법을 통해 신뢰도를 측정하고, A/B 테스트 등 실무적인 접근 방식도 언급됩니다.
- 개발 전략: 단순함에서 시작하여 최적화하는 전략을 권장하며, 모델 선택(Hosted vs Open Source), 컨텍스트 창 활용, Agentic Workflow의 그래프 구조 적용 등을 제시합니다.
- 기술적 접근: GPT-o1, Gemini, Llama 등의 LLM, Prompt Engineering, RAG와 Vector Database를 활용한 정보 증강, Agentic Workflow를 통한 작업 오케스트레이션, Guardrail을 통한 보안 강화 방안 등을 다룹니다.
개발 임팩트
- AI 에이전트 개발 및 LLM 기반 서비스 구축에 필요한 핵심 개념과 용어 이해도를 높여줍니다.
- 비결정적 환경에서의 개발 및 테스트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여 실무 적용 가능성을 높입니다.
- 효율적인 AI 에이전트 설계 및 최적화 전략을 통해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 원문에서는 책의 빠른 재판 출간이 해당 분야의 빠른 발전 속도를 시사한다고 언급하며, 기술의 성장 가능성을 내비칩니다.
- Gatsby 웹 프레임워크의 공동 창립자가 TypeScript 커뮤니티에 주목하는 점은 관련 기술 생태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관련 자료
LangChain
LangChain은 LLM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에이전트, 체인, 에이전트 작업 등의 개념을 구현하고 있으며, 본문의 AI 에이전트 구축 및 Agentic Workflow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깊습니다.
관련도: 95%
LlamaIndex
LlamaIndex는 LLM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데이터 프레임워크로, RAG(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구현 및 벡터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지원합니다. 이는 본문에서 설명하는 Embedding, Vector, RAG, Vector Database와 같은 핵심 기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관련도: 90%
Auto-GPT
Auto-GPT는 LLM을 사용하여 자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에이전트의 초기 예시로, 에이전트의 장기 실행, 메모리 관리, 도구 사용 등의 개념을 보여줍니다. 이는 본문에서 소개하는 Agent의 정의 및 동작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관련도: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