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코딩 시대, 바이브코딩으로 SaaS MVP 직접 만들고 판매 시작하기: 제작 후기 및 핵심 학습 포인트
🤖 AI 추천
AI 코딩 도구를 활용하여 개인 프로젝트 또는 SaaS 제품 개발을 시작하려는 개발자, 기획자, 디자이너 또는 창업가들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특히 AI 코딩 도구의 효과적인 사용법,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중요성, 그리고 백엔드 지식의 필요성을 배우고 싶은 분들에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AI 코딩 시대, 바이브코딩으로 SaaS MVP 직접 만들고 판매 시작하기: 제작 후기 및 핵심 학습 포인트
이 글은 필자가 AI 코딩 도구인 Cursor를 활용하여 직접 SaaS 제품(DividendPro)의 MVP(Minimum Viable Product)를 개발하고 판매를 시작한 경험과 학습 내용을 공유합니다. AI 코딩의 가능성을 강조하며, 실제 제품 개발 과정에서 겪었던 어려움과 해결 방안, 그리고 얻은 인사이트를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 핵심 기술 및 논점: AI 코딩 도구(Cursor, Claude Code)를 활용한 풀스택 개발 가능성 및 효과적인 사용법, AI 모델의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및 피드백 루프 구축의 중요성을 다룹니다.
- 기술적 세부사항:
- AI 코딩 도구 활용: Cursor를 사용하여 코드 작성, 수정, 에러 해결 등 전반적인 개발 과정을 진행합니다.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AI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세하고 구체적인 예시(스크린샷, 코드 등)를 제공하고,
cursorrules
및 문서 업데이트를 통한 지속적인 보정 작업을 수행합니다. - AI 모델 선택: 작업의 난이도에 따라 Cursor의 Auto 모드 또는 Claude 4 Opus의 Max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특히 Claude Code의 성능에 만족감을 표현합니다.
- 백엔드 지식의 중요성: 클라이언트 사이드 서비스 외 백엔드 구조(로그인, DB, 보안 등)를 이해해야 복잡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관련 서적 학습 및 ChatGPT를 통한 개념 학습을 병행했습니다.
- 결제 기능 구현: 학습한 백엔드 지식을 바탕으로 서비스 결제 기능을 성공적으로 구현했습니다.
- 개발 임팩트:
- AI 코딩을 통해 개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개인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여 실제 작동하는 프로덕트를 빠르게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AI에게 끌려가지 않고 주도적으로 방향을 지시하고 컨트롤하는 제작자의 역량이 제품 완성도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임을 강조합니다.
- 유명 바이브코딩 크리에이터인 Edmund Yong의 사례를 통해 '뾰족한 기능'을 가진 즉시 판매 가능한 프로덕트 전략의 유효성을 제시하며, 본인도 유사한 방향으로 다수의 프로덕트 개발 계획을 가지고 있음을 밝힙니다.
- 커뮤니티 반응 및 확장:
- 이전 공유에 대한 긍정적인 호응과 동시에 일부 부정적인 시선도 있었음을 언급합니다.
- 자신의 SaaS DividendPro를 마케팅하기 위한 Building in Public 전략을 활용할 계획이며, 다양한 채널을 통해 꾸준히 새로운 프로덕트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오픈 특강 및 새로운 커뮤니티 'AI 솔로프리너' 런칭 계획을 알리며 독자들과의 소통을 확장합니다.
- 톤앤매너: AI 코딩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과 함께 현실적인 조언, 그리고 솔로프리너로서의 도전을 격려하는 긍정적이고 실용적인 톤을 유지합니다.
📚 관련 자료
Cursor
The article specifically mentions and highlights Cursor as the primary AI coding tool used for building the SaaS MVP. It discusses Cursor's features, different AI models (Auto mode, Claude 4 Opus), and how to effectively use it with cursorrules.
관련도: 95%
Next.js
Although not explicitly mentioned, modern SaaS development often utilizes frameworks like Next.js for full-stack capabilities, especially when integrating with Vercel for deployment. The article's focus on building a functional SaaS product with a UI implies the use of such a framework.
관련도: 70%
Vercel
The author mentions using Vercel Analytics to measure user retention for their SaaS product. Vercel is a popular platform for deploying frontend and serverless applications, which aligns with the context of building and launching a new SaaS.
관련도: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