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활용한 6일간의 풀스택 웹3 프로토콜 분석 툴 'Code Craft' 개발기

🤖 AI 추천

이 콘텐츠는 AI를 활용하여 복잡한 웹3 프로토콜을 분석하는 도구를 단기간에 개발하는 과정을 상세히 다루고 있어, 풀스택 개발자, AI 엔지니어, 블록체인 보안 연구원, 그리고 새로운 개발 툴을 탐색하는 모든 기술 리더들에게 유용합니다. 특히, 제한된 시간 안에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제품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개발자나 AI 기반 개발 프레임워크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분들에게 큰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 주요 키워드

AI를 활용한 6일간의 풀스택 웹3 프로토콜 분석 툴 'Code Craft' 개발기

핵심 기술

본 콘텐츠는 AI, 특히 LLaMA 3.3-70B 모델을 활용하여 웹3 프로토콜의 GitHub 레포지토리와 문서를 분석하고, 요약,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컴포넌트 설명, 보안 취약점 분석까지 제공하는 풀스택 애플리케이션 'Code Craft'의 개발 과정을 소개합니다. Bolt라는 개발 플랫폼을 사용하여 단 6일 만에 프로토타입을 구축한 경험을 공유하며, AI를 개발의 '코파일럿'으로 활용하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애플리케이션 개요: Code Craft는 웹3 프로토콜의 GitHub 저장소와 문서 링크를 입력받아 자동으로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AI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입니다.
  • 주요 기능:
    • 프로토콜 요약
    • 스마트 컨트랙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생성 (SolidityVisualizer 컨셉 기반, Mermaid.js, D3.js, PlantUML 활용)
    • 컴포넌트 수준 설명
    • 보안 취약점 평가
    • 분석 보고서 JSON 형식 내보내기
  • AI 모델 및 처리:
    • LLaMA 3.3-70B 모델 사용
    • 문서 처리: 프로토콜 로직, 비즈니스/경제 모델 추출
    • GitHub 분석: Solidity 코드 파싱, AST 구축, 취약점 탐지, 상호작용 맵핑
  • 프론트엔드:
    • GitHub/문서 링크 입력 필드 2개
    • 'Analyze Web3 Protocol' 버튼
    • 결과 출력 섹션 (요약, 다이어그램, 설명, 보안 분석)
    • 미니멀리스트 블랙 & 화이트 디자인, Framer Motion 활용
  • 백엔드:
    • GitHub 및 문서 URL 스크래핑
    • 데이터 추출, 파싱, 정제
    • LLM 모델로 구조화된 데이터 전송
    • Supabase 데이터베이스에 결과 저장
  • 개발 플랫폼: Bolt 플랫폼을 사용하여 원클릭 배포, Supabase 연동, Netlify 퍼블리싱, 코드 변경 시 자동 업데이트 등 효율적인 풀스택 개발 환경 구축
  • AI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하나의 상세한 AI 프롬프트로 전체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프론트엔드, 백엔드, AI 워크플로우, 데이터베이스 구조까지 설계

개발 임팩트

  • AI를 활용하여 개발 속도를 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줌 (6일 만에 풀스택 앱 개발)
  • 복잡한 웹3 프로토콜 분석 과정을 자동화하여 보안 연구원, 감사자, 개발자의 시간과 노력을 10배 이상 절감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
  • Bolt와 같은 통합 개발 플랫폼이 AI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얼마나 쉽고 빠르게 만드는지 증명
  • AI를 단순한 도구가 아닌 '코파일럿'으로 삼아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커뮤니티 반응

글쓴이는 Bolt 팀의 무료 Pro 라이선스 제공 및 활발한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감사함을 표하며, Bolt 플랫폼의 개발자 친화적인 환경과 효율성에 대해 극찬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커뮤니티인 'Defenders Den'을 통해 Code Craft를 공개하여 실제 타겟 사용자인 보안 연구원들에게 빠르게 도달할 계획을 밝히고 있습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