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생산성 향상: Cursor MCP를 활용한 실습 일지 작성 및 DB 조회 자동화
🤖 AI 추천
현장 실습 중이거나 개발 업무 자동화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는 주니어 및 미들 레벨 개발자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특히, 반복적인 문서 작업이나 데이터 조회 작업에 시간을 절약하고 싶은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본 콘텐츠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외부 데이터 및 시스템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연결 프로토콜인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소개하고, 이를 Cursor IDE와 연동하여 실습 일지 작성 및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조회 자동화에 활용하는 구체적인 경험을 공유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MCP의 개념: LLM의 외부 데이터 및 시스템 활용 확대를 위한 연결 프로토콜.
* Cursor IDE와의 연동:
* MCP 서버(예: Notion 연동)를 통해 Notion 버튼 클릭 시 mcp.json
에 서버 정보가 자동으로 작성됨.
* mcp.json
구성 예시: "mcpServers": { "Notion": { "url": "...", "headers": {} } }
* 로그인 후 연결되며, 오른쪽 채팅창에서 MCP 사용 가능 (욜로 모드 시 사용자 허락 없이 사용 가능).
* "오늘 내가 한걸 노션에 리스트업 해줘."
와 같은 프롬프트로 실습 일지 자동화.
* Postgresql 연동:
* Postgresql 테이블 조회 자동화.
* mcp.json
구성 예시: "postgres": { "command": "npx", "args": ["-y", "@modelcontextprotocol/server-postgres", "postgresql://langlanglang~~"] }
* PGSSLMODE": "require
환경 변수 설정.
* 단, Postgresql 정보 전체를 입력해야 하는 단점 존재.
* MCP 구성 요소: 호스트(Cursor IDE, Claude Code 등 AI 도구), 클라이언트(호스트 내에서 서버 연결 및 메시지 라우팅 관리), 서버(외부 데이터, 도구, 프롬프트 노출).
* 양방향 연결: 기존의 단방향(사용자 입력 -> AI 응답)과 달리, AI 모델과 데이터 소스 간 지속적인 정보 교환이 가능.
개발 임팩트: MCP 활용을 통해 반복적이고 귀찮은 업무(실습 일지 작성, DB 조회 등)를 자동화하여 개발자의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코딩뿐만 아니라 다양한 도구를 연결하여 문제 해결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본 콘텐츠에 명시적 언급 없음)
톤앤매너: 실제 실습 경험을 바탕으로 MCP의 유용성을 설명하며, IT 개발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긍정적이고 유익한 톤앤매너를 유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