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EC2 인스턴스를 위한 EBS 볼륨 생성, 연결 및 사용 가이드
🤖 AI 추천
AWS 환경에서 EC2 인스턴스의 영구적인 스토리지 관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백엔드 개발자, DevOps 엔지니어, 시스템 관리자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AWS를 처음 사용하거나 EC2 환경에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중급 개발자에게 적합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이 문서는 AWS EC2 인스턴스의 기본 스토리지 한계를 극복하고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필수 서비스인 Amazon Elastic Block Store(EBS)의 생성, 연결, 사용 방법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Amazon EBS란 무엇인가: EC2와 함께 사용되는 영속적인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로, 인스턴스가 중지되거나 종료되어도 데이터가 유지됩니다.
* EBS의 주요 특징:
* 물리 디스크처럼 작동하며, 크기 조절, 백업, 복원 가능
*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내에서 높은 가용성과 안정성 제공
* SSD, HDD 등 다양한 성능 티어 지원
* EBS 사용 이유: 데이터 영속성, 64TiB까지 확장 가능한 스케일링, S3를 이용한 스냅샷 백업 및 복구, 데이터 암호화 지원, 워크로드에 맞는 성능 티어 선택 가능 (gp3, io2, st1, sc1)
* EBS 볼륨 생성 단계: AWS Console을 통해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가용 영역을 확인한 후, 동일한 가용 영역에 "gp3" 타입의 EBS 볼륨을 생성합니다.
* EBS 볼륨 연결 및 사용: 생성된 볼륨을 EC2 인스턴스에 연결하고, SSH를 통해 인스턴스에 접속하여 lsblk
명령어로 확인 후, mkfs
및 mount
명령어로 포맷 및 마운트하여 사용합니다. 또한, 데이터 영속성 테스트 방법도 제시합니다.
* 정리 및 비용 관리: 사용하지 않는 볼륨은 반드시 언마운트, 분리, 삭제하여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방지해야 합니다.
개발 임팩트: EBS를 통해 EC2 인스턴스의 데이터 지속성을 확보하고, 필요에 따라 스토리지를 유연하게 확장 및 관리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축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는 커뮤니티 반응 언급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