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자르의 1:1 비디오 채팅 기능, Pytest와 Appium을 활용한 교차 플랫폼 자동화 전략

🤖 AI 추천

아자르와 같이 복잡한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모바일 앱의 테스트 자동화를 진행하는 QA 엔지니어, SDET 엔지니어, 그리고 자동화 테스트에 관심 있는 개발자에게 추천합니다. 특히 교차 플랫폼 테스트 자동화의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주요 키워드

아자르의 1:1 비디오 채팅 기능, Pytest와 Appium을 활용한 교차 플랫폼 자동화 전략

핵심 기술

Pytest와 Appium을 활용하여 아자르의 1:1 비디오 채팅과 같은 복잡한 상호작용 기능을 포함하는 모바일 앱의 교차 플랫폼 회귀 테스트를 자동화하는 실질적인 전략과 해결 방안을 제시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테스트 자동화 구조: Non-interaction과 Interaction 테스트로 구분하여 접근 방식을 달리함.
  • Interaction 테스트 자동화: 하나의 테스트에서 2개의 driver를 생성하여 조작하는 방식 도입.
  • 교차 플랫폼 지원: Android-Android, Android-iOS, iOS-Android, iOS-iOS 등 다양한 플랫폼 조합에 대한 테스트 실행 및 선택적 실행 지원.
  • 병렬 실행: pytest-xdist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병렬 실행 환경 구축.
  • 매칭 풀 문제 해결: 서버 개발팀과의 협업을 통해 특정 세그먼트 내 유저만 매칭되도록 개선하여 병렬 실행 시 발생하는 매칭 간섭 방지.
  • 동시 실행 로직: 테스트 스텝 내 의존성이 없는 동작은 concurrent.futures.ThreadPoolExecutor를 사용하여 비동기 병렬 실행으로 테스트 시간 단축.
  • 코드 재사용성 및 유지보수: Page Object Model과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플랫폼별 동작 방식을 통일시키고 코드의 간결성과 유지보수성 확보.
  • 테스트 스킵 기능: pytest의 hook을 활용하여 특정 플랫폼 조합에서의 테스트 실행 스킵 처리.

개발 임팩트

  • 테스트 시간 단축: 전체 테스트 스위트 실행 시간을 최대 6시간 단축 (102시간 → 7시간).
  • 효율성 증대: 13MD 분량의 반복적인 수동 테스트 업무 자동화.
  • 품질 향상: 일관된 테스트 수행으로 휴먼 에러 감소 및 회귀 버그 조기 발견.
  • QA 팀 역량 강화: QA 팀이 신규 기능 탐색적 테스트 등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 확보.

커뮤니티 반응

  • 본문에서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 언급은 없으나, 제시된 해결책들은 실제 개발 현장에서 겪는 문제들에 대한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보여줌.

톤앤매너

실제 서비스 개발 및 테스트 자동화 과정에서 겪은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적 접근 방식을 명확하고 전문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동료 개발자들에게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긍정적인 톤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