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량 데이터 처리 및 저장: 배치, 스트리밍, DB, 샤딩, 캐싱, 파티셔닝, 인덱싱, 큐, 아카이빙 전략

🤖 AI 추천

이 콘텐츠는 대용량 데이터의 효율적인 처리, 저장, 관리 전략에 관심 있는 모든 IT 개발자, 특히 백엔드 개발자, 데이터 엔지니어, 시스템 아키텍트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데이터 처리 방식(배치 vs 스트리밍),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종류, 서버 분산 기법, 성능 최적화를 위한 기법들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어, 실무에서 겪을 수 있는 데이터 관련 문제 해결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주요 키워드

대용량 데이터 처리 및 저장: 배치, 스트리밍, DB, 샤딩, 캐싱, 파티셔닝, 인덱싱, 큐, 아카이빙 전략

핵심 기술

본 문서는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 접근 방식을 소개합니다. 핵심은 데이터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맞춰 배치 처리, 스트리밍 처리,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활용, 그리고 서버 및 데이터 분산 기법을 최적의 조합으로 선택하는 것입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데이터 처리 방식:
    • 배치 처리: 데이터를 모아서 한 번에 처리하며, 정확성과 안정성을 중시할 때 사용합니다. 높은 처리량, 결과 도출 시간 소요, 비용/자원 효율성, 높은 신뢰도가 특징입니다. (예: 일일/월간 정산, 통계)
    • 스트리밍 처리: 데이터가 들어오는 즉시 실시간으로 처리하며, 빠른 응답이 가능합니다. 데이터 양의 한계, 지속적인 부하, 낮은 신뢰도(이벤트 순서/중복 처리 이슈)가 특징입니다.
  • 대용량 데이터 저장 DB 후보:
    • RDB: 데이터 무결성 및 트랜잭션 보장, 정형 데이터 저장에 유리합니다.
    • NoSQL: 스키마리스, 수평 확장에 유리하며, 로그, IoT, 실시간 서비스 데이터 저장에 적합합니다.
    • Data Warehouse: 분석에 최적화, SQL 기반 빠른 분석, 대규모 병렬 처리(열 단위 저장)에 유용합니다. (예: Amazon RedShift, Google BigQuery)
    • Data Lake: 형태가 다른 대용량 데이터를 원본 그대로 저장, 미정제 데이터 저장에 유리합니다. (예: Hadoop, Amazon S3)
    • Object Storage: 파일 단위 저장, URL 접근, 클라우드 기반 기본 파일 저장소로 사용됩니다. (예: AWS S3, Google Cloud Storage)
  • 서버 분산 기법:
    • 샤딩: 대용량 데이터를 여러 서버에 분산 저장하는 방식 (범위, ID 등 기준).
    • 로드 밸런싱: 트래픽 분산을 통해 여러 서버로 요청을 분산.
  • 성능 최적화 기법:
    • 캐싱: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여 빠르게 접근.
    • 파티셔닝: 하나의 큰 데이터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저장 (Range, Hash, List).
    • 인덱싱: 데이터 위치를 미리 정리하여 검색 속도 향상.
  • 비동기 처리 및 데이터 관리:
    • 큐(Queue): 오래 걸리는 작업을 뒤에서 따로 처리 (예: 이메일 발송, 로그 저장).
    • 아카이빙/티어링: 오래되거나 사용 빈도가 낮은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별도 저장소로 이동하여 DB 공간 절약.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