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폰트 글립(Glyph) 차이와 최적화: Inter 폰트 활용 사례
🤖 AI 추천
프론트엔드 개발자, 웹 디자이너, UI/UX 엔지니어는 웹사이트의 타이포그래피를 개선하고 일관된 디자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이 콘텐츠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웹사이트에서 동일한 폰트라도 다르게 보이는 현상의 원인을 분석하고, CSS의 font-feature-settings
속성을 사용하여 폰트 글립(Glyph) 스타일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글립(Glyph)의 이해: 같은 문자의 다른 형태(예: 'a'의 단층/이층 구조)를 글립이라고 하며, Inter와 같은 폰트는 OpenType 기능을 통해 여러 글립을 지원합니다.
* CSS font-feature-settings
: font-feature-settings: "ss07";
와 같은 CSS 속성을 사용하여 특정 글립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next/font/google
의 한계: Google Fonts를 next/font/google
로 연동할 경우, 일부 OpenType 기능(글립 변형)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폰트 자체 호스팅: next/font/local
을 사용하여 폰트 파일을 직접 프로젝트에 포함하고 설정하면, OpenType 기능을 더 잘 활용할 수 있습니다.
* Next.js와 Tailwind CSS 적용: layout.tsx
에서 localFont
를 설정하고, globals.css
에 font-feature-settings
를 적용하여 원하는 글립 스타일을 적용하는 구체적인 코드 예시를 제공합니다.
개발 임팩트:
* 타이포그래피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고 디자인 일관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OpenType 기능을 활용하여 웹사이트의 시각적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폰트 서드파티 서비스의 제약을 이해하고, 자체 호스팅을 통해 유연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 원문에서는 특정 디자인 인플루언서(Brittany Chiang)의 포트폴리오를 예시로 들며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른 개발자들의 의견이나 팁을 댓글로 공유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