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를 위한 커스텀 도메인 연결 및 배포 가이드

🤖 AI 추천

개인 웹사이트,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또는 소규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커스텀 도메인 설정 및 배포 과정을 배우고 싶은 웹 개발자 및 DevOps 입문자에게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웹사이트를 위한 커스텀 도메인 연결 및 배포 가이드

핵심 기술

이 가이드는 웹사이트를 위한 커스텀 도메인 구매부터 DNS 설정, 그리고 Vercel 또는 자체 VPS(Nginx 사용)를 통한 웹사이트 배포 및 HTTPS 설정까지 전 과정을 상세히 다룹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도메인 구매: Namecheap, GoDaddy, Google Domains, Cloudflare Registrar 등의 등록 기관을 통해 .com, .net 등 원하는 TLD의 도메인 구매.
  • DNS 설정: 구매한 도메인의 DNS 설정을 통해 도메인을 서버 또는 호스팅 플랫폼에 연결.
    • Vercel 연동: Vercel 대시보드에서 프로젝트의 도메인 설정 후 제공되는 DNS 레코드(CNAME 또는 A Record)를 도메인 등록 기관에 추가.
    • VPS 연동: 서버의 Public IP 주소를 사용하여 도메인 등록 기관의 DNS 설정에 A 레코드 추가 (@ 호스트에 서버 IP 연결).
  • 호스팅 플랫폼: Vercel, Netlify, GitHub Pages, Render, DigitalOcean, Heroku, AWS EC2, Railway, 자체 호스팅 VPS 등 다양한 옵션 소개.
  • VPS 배포 (Nginx):
    • 파일 업로드: scp 명령어를 사용하여 로컬 파일을 VPS의 /var/www/html 또는 커스텀 디렉토리로 전송.
    • 애플리케이션 실행: git clone, npm install, pm2 start 등을 사용하여 Node.js 애플리케이션 실행.
    • Nginx 설정: /etc/nginx/sites-available/에 가상 호스트 설정 파일(server 블록) 생성 및 심볼릭 링크(ln -s)로 /etc/nginx/sites-enabled/에 연결하여 트래픽 라우팅.
  • SSL/HTTPS 설정: Let's Encrypt와 Certbot을 사용하여 무료 SSL 인증서를 발급받고 Nginx 설정을 자동화하여 HTTPS 활성화.
  • 이메일 설정 (MX Record): Zoho Mail, Google Workspace, ProtonMail 등 외부 서비스를 이용한 커스텀 도메인 이메일 설정 시 MX 레코드 업데이트 필요.

개발 임팩트

커스텀 도메인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전문적인 웹사이트 운영이 가능해집니다. Vercel 또는 VPS를 이용한 배포 및 HTTPS 설정은 안정적이고 안전한 서비스 제공의 기반을 마련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본문 내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 언급 없음)

톤앤매너

개발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용적이고 단계별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문적인 톤을 유지합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