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좌충우돌 사진 공유 서비스 구축기: 실패와 교훈에서 배우는 실전 팁
🤖 AI 추천
개발자 커뮤니티에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고 싶은 프론트엔드 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또는 개인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싶은 모든 개발자에게 이 글을 추천합니다. 특히 Nuxt.js, Vue.js, TypeScript에 익숙한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개발자의 좌충우돌 사진 공유 서비스 구축기: 실패와 교훈에서 배우는 실전 팁
핵심 기술
이 글은 개발자가 저렴한 비용으로 친구 및 가족과 사진을 공유하기 위해 직접 서비스 구축에 나섰다가 겪은 여러 기술적 난관과 해결 과정을 솔직하게 담고 있습니다. Nuxt 3, Vue.js, TypeScript를 기반으로 이미지 로딩 성능 최적화, 사용자 경험 개선, 배포 및 캐싱 전략 등 실제 개발 과정에서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와 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초기 접근: Cloudflare R2 객체 스토리지와 이미지 서비스를 활용한 프로토타입 구축.
- 성능 저하: 수천 개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직접 렌더링 시 발생하는 브라우저 버벅거림 및 성능 저하 문제.
- 가상 DOM 활용 시도:
vue-virtual-scroller
라이브러리 사용 시도 및 실패, 직접 구현 결정. - Intersection Observer 구현: DOM 업데이트를 지연시키기 위해
Intersection Observer
를 사용하여 뷰포트에 보이는 요소만 로드하는 방식 적용. - DOM 업데이트 최적화:
requestAnimationFrame
을 활용한 배치 DOM 업데이트로 스크롤 성능 향상. - 이미지 최적화: Nuxt Image 컴포넌트를 활용한 이미지 압축 및 리사이징 시도, 인메모리 캐싱의 한계와 해결 방안 모색.
- 브라우저 캐싱 및 Cloudflare 캐싱: 이미지 변환 후에도 캐시 문제로 인한 재업로드 및 문제 해결 과정.
- 모바일 UX: 백 버튼으로 인한 스크롤 위치 복원 문제, 스와이프 제스처 충돌 문제와 해결책 부재.
- Nuxt 버그: Nuxt 프레임워크 자체의 버그로 인한 앱 충돌 경험 및 해결.
- WebP 변환:
sharp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ebP 변환 및 메타데이터 처리 문제 (이미지 회전). - 대용량 업로드 처리: 사용자 업로드 제한 없는 대용량 파일 업로드 시 서버 메모리 초과 문제 발생.
- 배포 환경: Sliplane.io를 활용한 저렴하고 간편한 Docker 컨테이너 배포.
개발 임팩트
- 대규모 이미지 목록 처리 시 성능 최적화 기법 (Virtual DOM, Intersection Observer,
requestAnimationFrame
) 습득. - 프론트엔드 이미지 처리 및 최적화에 대한 이해 증진.
- 캐싱 전략의 중요성 및 실제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인지.
- 라이브러리 활용의 한계와 직접 구현 시 고려사항 학습.
- 개발 프로젝트 진행 시 예상치 못한 문제 발생 가능성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 해결 능력 강화.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서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을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글의 내용은 개발자들이 흔히 겪을 법한 현실적인 문제와 해결 과정을 다루고 있어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공감과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개발자 규칙'을 인용하며 유머러스하게 풀어내는 방식은 독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톤앤매너
개발자의 시선에서 솔직하고 유머러스하게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톤입니다. 기술적인 내용을 깊이 있게 다루면서도, 개발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배움을 진솔하게 전달하여 친근함과 신뢰감을 줍니다.
📚 관련 자료
nuxt/nuxt
Nuxt 3 프레임워크의 메인 저장소로, 글에서 사용된 Nuxt Image 컴포넌트 및 Nuxt의 전반적인 개발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관련도: 95%
vuejs/vue
Vue.js의 메인 저장소로, Nuxt 3의 기반이 되는 프레임워크이며 글에서 언급된 Virtual DOM 및 컴포넌트 기반 개발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관련도: 85%
cloudflare/workers- السr2-example-bucket
Cloudflare R2 스토리지 사용 예시를 제공하는 저장소로, 글에서 사진 저장소로 사용된 R2의 활용 방안과 연관성이 있습니다.
관련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