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에서 MLOps 엔지니어로의 성공적인 전환 가이드: 핵심 기술 및 마인드셋
🤖 AI 추천
DevOps 경험을 바탕으로 MLOps 분야로 커리어를 확장하려는 엔지니어에게 이상적인 콘텐츠입니다. 특히 머신러닝 모델의 버전 관리, 학습 파이프라인 구축, 모니터링 등 MLOps의 핵심 개념과 실질적인 도구 및 접근 방식에 대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DevOps의 핵심 원칙과 자동화, CI/CD, IaC, 모니터링 기술을 머신러닝(ML) 라이프사이클에 적용하여 MLOps 엔지니어로 성공적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가이드입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MLOps의 핵심 원칙: DevOps의 연장선으로, 개발 주기 단축, 배포 빈도 증가, 안정적인 릴리스를 목표합니다.
- DevOps와 MLOps의 비교:
- 아티팩트: DevOps는 코드, 바이너리, 컨테이너 이미지에 집중하는 반면, MLOps는 코드, 모델 파일, 데이터셋 모두를 버전 관리해야 합니다.
- 파이프라인: DevOps의 CI/CD 파이프라인에 ML 모델의 CT(Continuous Training) 단계를 추가합니다.
- 모니터링: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메트릭 외에 모델 드리프트(Data Drift, Concept Drift), 예측 품질, 데이터 품질 모니터링이 중요해집니다.
- 핵심 MLOps 도구:
- 실험 추적: MLflow, Weights & Biases
- 파이프라인 오케스트레이션: Kubeflow Pipelines, Airflow
- 모델 서빙: KServe, Seldon Core, BentoML
- 데이터 버전 관리: DVC
- 피처 스토어: Feast
-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단계:
- DevOps 기술 강화 (Kubernetes, Docker, Terraform, CI/CD 도구)
- ML 기본 개념 학습 (지도/비지도/강화 학습, 모델 라이프사이클, 성능 지표)
- MLOps 특화 도구 숙달
-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구축 (간단한 모델 배포 → CI/CD 통합 → DVC/MLflow 통합)
- 마인드셋 적응 (실험적 특성 수용, 데이터 과학자와의 협업)
개발 임팩트
DevOps 엔지니어가 기존 기술 스택과 마인드셋을 활용하여 AI/ML 시대의 필수 인력인 MLOps 엔지니어로 성공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ML 모델의 개발, 배포,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본문 내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 언급 없음)
📚 관련 자료
MLflow
ML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친 실험 추적, 재현성 확보, 모델 배포를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MLOps 파이프라인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관련도: 95%
Kubeflow
Kubernetes 기반의 머신러닝 워크로드를 위한 플랫폼으로, MLOps의 파이프라인 오케스트레이션, 모델 서빙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ML 모델의 배포 및 관리를 자동화합니다.
관련도: 90%
DVC (Data Version Control)
Git과 연동하여 대규모 데이터셋 및 ML 모델을 버전 관리하는 도구로, ML 모델의 재현성을 높이고 데이터 기반의 MLOps 구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관련도: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