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록색약자를 위한 그림 영역 분할: DFS 알고리즘 활용 실습
🤖 AI 추천
적록색약으로 인해 색상 인식이 달라지는 환경에서, 주어진 색칠된 그림을 정상인과 적록색약자의 관점에서 각각 몇 개의 영역으로 인식하는지 파악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특히 알고리즘 학습, 그래프 탐색, 백트래킹 기법에 관심 있는 주니어 및 미들 레벨 개발자에게 추천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본 콘텐츠는 NxN 크기의 색칠된 그림에서 정상인과 적록색약자가 인식하는 영역 수를 계산하는 문제를 깊이 우선 탐색(DFS)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적록색약자의 경우 빨간색(R)과 초록색(G)을 동일한 색으로 간주하는 특성을 반영하여 영역을 구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문제 정의: NxN 격자 형태의 색칠된 그림에서 R, G, B 세 가지 색으로 구분되며, 상하좌우로 연결된 같은 색상의 셀들이 하나의 영역을 이룰 때, 정상인과 적록색약자가 인식하는 영역 수를 각각 계산합니다.
- 알고리즘: 깊이 우선 탐색(DF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연결된 영역을 탐색합니다.
- 정상인 탐색: 방문하지 않은 좌표에서 시작하여 같은 색상으로 연결된 모든 셀을 탐색하고, 탐색이 완료될 때마다 영역 카운트를 1씩 증가시킵니다.
visited
배열을 사용하여 이미 탐색한 셀은 다시 방문하지 않도록 처리합니다. - 적록색약 탐색:
visited
배열을 초기화한 후, DFS 탐색 시 색상 비교 로직을 수정합니다. 적록색약자는 R과 G를 같은 색으로 인식하므로, 현재 셀의 색상이 R 또는 G이고 탐색할 인접 셀의 색상 역시 R 또는 G일 경우 같은 영역으로 간주하여 탐색을 계속합니다. 또한, R/G와 동일한 색상이 아닌 다른 단일 색상(color == grid[nx][ny]
)일 경우에도 탐색을 지속합니다. - 구현:
dx
,dy
배열을 활용하여 상하좌우 인접 좌표를 효율적으로 탐색하며, 재귀 호출을 통해 연결된 모든 영역을 탐색합니다.
개발 임팩트
-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DFS)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실제적인 문제 해결 능력과 알고리즘 설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조건(예: 색맹)에 따른 알고리즘 수정 및 적용 능력을 배양할 수 있습니다.
- 코딩 테스트나 알고리즘 문제 해결 시 유사한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을 익힐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톤앤매너
기술적으로 정확하고 명확한 설명으로, 알고리즘 학습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합니다. 코드를 분석하며 단계별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제시합니다.
📚 관련 자료
algorithm-java
이 저장소는 Java 기반의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 풀이 코드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DFS를 포함한 그래프 탐색 관련 문제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본 콘텐츠의 알고리즘적 접근 방식과 유사한 예시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관련도: 90%
boj-java
백준 온라인 저지(Baekjoon Online Judge)의 문제들을 Java로 해결한 코드들을 모아놓은 저장소입니다. 본 콘텐츠에서 다루는 문제와 유사한 유형의 그래프 탐색, DFS/BFS 문제 해결 방법을 찾고 학습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10026번 '적록색약' 문제 자체의 다양한 풀이 접근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도: 95%
Algorithms
이 저장소는 Java로 구현된 다양한 알고리즘들을 제공합니다. DFS를 포함한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의 기본 구현 및 응용 사례를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문제 해결 시 참고할 수 있는 일반적인 알고리즘 패턴을 제공합니다.
관련도: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