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ord의 실시간 채팅 아키텍처: 이벤트 소싱과 최적화를 통한 수백만 메시지 초당 처리 비결

🤖 AI 추천

이 콘텐츠는 고성능 실시간 데이터 처리 시스템 설계에 관심 있는 백엔드 개발자,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그리고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해야 하는 서비스 개발자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이벤트 소싱 패턴의 실질적인 적용 방법과 성능 최적화 기법에 대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 주요 키워드

Discord의 실시간 채팅 아키텍처: 이벤트 소싱과 최적화를 통한 수백만 메시지 초당 처리 비결

핵심 기술

Discord는 초당 수백만 메시지를 처리하는 실시간 채팅 시스템을 이벤트 소싱과 정교한 최적화 기법을 통해 구현합니다. 메시지 수정/삭제 문제, 대규모 데이터 검색의 어려움, 샤딩의 일관성 문제를 해결하며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이벤트로서의 메시지: 각 메시지는 고유한 event_id를 가지는 이벤트로 취급됩니다. (예: 메시지 전송, 삭제 이벤트)
  • 불변성(Immutability): 이벤트는 수정되거나 삭제되지 않고, 대신 변경 사항(수정/삭제)을 나타내는 새로운 이벤트가 추가됩니다.
  • 프로젝션(Projections): 실시간 보기(View)를 위해 데이터를 변환하고 집계하는 방식입니다.
    • 채널 뷰: channel_id로 메시지를 타임스탬프 순으로 조회합니다.
    • 사용자 검색: content 필드를 위한 Elasticsearch 인덱스를 활용합니다.
  • 데이터 계층화(Hot/Cold Data):
    • 핫 데이터 (최근 메시지): 낮은 지연 시간의 읽기 성능을 위해 Cassandra를 사용합니다.
    • 콜드 데이터 (오래된 메시지): 비용 효율성을 위해 S3 + RocksDB를 활용합니다.
  • 최적화 기법:
    • 데이터 압축 및 컬럼 형식: 오래된 데이터는 압축된 컬럼 형식으로 저장하여 비용 효율성을 높입니다.
    • 스냅샷(Snapshotting): 채널 상태의 일일 스냅샷을 저장하고, 새 이벤트는 스냅샷 이후의 이벤트만 다시 재생하여 채널 로딩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합니다. (10K 메시지 로딩 시 5초 → 50ms)
    • 이벤트 청크(Chunking): 이벤트를 5분 단위로 그룹화하여 병렬 처리 및 효율적인 압축을 지원합니다.
  • 소프트 삭제 및 필터링: 삭제 이벤트는 새로운 이벤트를 생성하고, 프로젝션 단계에서 deleted = false 조건으로 필터링합니다.
  • 데이터 영구 삭제 (Purge): 법적 요구사항 준수를 위해 익명화(user_id, content 재명명) 또는 콜드 스토리지에서 오래된 청크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개발 임팩트

  • 불변 이벤트 기반 설계는 감사 추적, 디버깅, 시스템 복구에 유리합니다.
  • 데이터 계층화와 스냅샷/청크 기법은 비용 효율성과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킵니다.
  • 미래의 데이터 규제(GDPR 등)에 대비하여 설계 초기부터 삭제 및 익명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필요에 따라 점진적으로 이벤트 소싱을 도입하고 확장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본문에서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 내용은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뜨거운 관심사를 보일 주제입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