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QA 체제, 디플롯의 실전 품질 관리 체계 구축기: 왜와 어떻게
🤖 AI 추천
신규 QA 엔지니어로서 팀에 합류했거나, 품질 관리 체계 구축 경험이 부족한 QA 담당자, 혹은 리소스가 제한적인 환경에서 QA 프로세스를 개선하고자 하는 실무자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본 콘텐츠는 1인 QA 엔지니어가 품질 담당자가 없는 팀에 합류하여 서비스의 특성과 팀 상황에 맞는 실질적인 품질 관리 체계를 구축한 과정을 공유합니다.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판단 기준을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 사용자 비중, 리스크를 고려한 테스트 우선순위 설정부터 QA 전용 환경 구성, 이슈 관리, 테스트 시작 및 종료 조건 정의, 그리고 배포 승인(Sign-off) 기준까지 체계적인 QA 프로세스 구축 방안을 제시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서비스 이해 및 해피패스 정의: 사용자 관점에서 서비스 흐름을 파악하고, 구매라는 핵심 목표 달성을 위한 해피패스를 정의 후 단계별로 세분화.
* 테스트 우선순위 설정: 사용자 비중과 장애 리스크를 기준으로 검증 항목을 0순위, 1순위, 2순위로 구분하여 제한된 리소스로 핵심 기능 안정성 보장.
* QA 전용 환경 구축: 개발 및 자체 테스트와 분리된 QA 환경을 구성하여 개발자가 테스트 마친 작업만 반영, 안정적인 테스트 환경 확보 및 예측 가능한 테스트 일정 운영.
* 이슈 티켓 우선순위 기준 정의: 이슈의 영향도, 발생 범위, 재현 빈도를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정하여 PO, 개발, 디자인, QA 간 명확한 소통 및 조율.
* 테스트 시작 조건 설정: 개발, PO, 디자인의 자체 테스트 완료 및 테스트 환경 배포 등 최소한의 조건 명확화로 반복 테스트 및 불필요한 이슈 등록 방지.
* 테스트 종료 조건 설정: 테스트 케이스 100% 수행, 탐색적 테스팅 완료, 하위 호환 및 롤백 테스트 수행 등 명확한 기준 수립으로 테스트 누락 방지 및 범위 명확화.
* Sign-off 기준 정의: 테스트 종료 조건 충족, 테스트 결과 공유, 이슈 우선순위에 따른 처리(매우 높음/높음 배포 전 수정), 롤백 플랜 논의 등 팀의 합의를 통한 배포 결정.
개발 임팩트
* 제한된 리소스 환경에서도 핵심 기능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품질을 보증할 수 있습니다.
* QA 전용 환경을 통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테스트 수행이 가능해집니다.
* 명확한 이슈 및 배포 기준을 통해 팀 전체가 동일한 언어로 소통하며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 문서화된 테스트 케이스 외 탐색적 테스팅을 통해 실제 운영 환경의 예외 상황까지 대비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서 커뮤니티 반응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으나, 제시된 QA 방법론은 개발팀 내에서 품질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