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로이드나이츠 2025 참가 후기: 대규모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의 아키텍처, 협업, 자동화 및 기술 도입 전략 인사이트

🤖 AI 추천

드로이드나이츠 2025 컨퍼런스 참가 경험을 공유하는 글로, 대규모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의 아키텍처 설계, 컴포넌트 관리, 협업 효율성 증대 방안, Compose 도입 전략, CI/CD 자동화 및 이력서 작성/면접 대비 등 실무적인 내용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고자 하는 안드로이드 개발자에게 매우 유익합니다. 특히 컴포넌트 수천 개 규모의 프로젝트 경험이나 새로운 기술 도입 시 고려사항 등에 관심 있는 개발자에게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드로이드나이츠 2025 참가 후기: 대규모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의 아키텍처, 협업, 자동화 및 기술 도입 전략 인사이트

핵심 기술
본 콘텐츠는 안드로이드 개발자 컨퍼런스인 드로이드나이츠 2025에서 얻은 다양한 기술적 인사이트를 공유하며, 특히 대규모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의 실질적인 아키텍처 설계, 협업 방식, CI/CD 자동화, 새로운 기술 도입 전략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대규모 프로젝트 구성: 컴포넌트 약 2000개, 모듈 240개, Activity 1300개 규모의 프로젝트에서 오는 압도적인 스케일을 경험.
  • 아키텍처 설계: app -> feature -> binding -> resource 구조를 따르며, Compose 도입 시 binding 단계에 Compose 모듈을 추가하여 리팩토링한 사례.
  • Compose Coding Convention (CCC): 순환 참조 문제 해결을 위한 cross-ui 모듈을 통한 DIP 위배 방지 및 Fragment에서 ComposeView로 점진적 마이그레이션 전략.
  • 스터디 및 안정성 확보: 3개월간 5명씩 7개 조로 진행된 스터디와 2주간 크래시 0건 달성.
  • CI/CD 자동화: Jenkins CI를 활용한 Figma 아이콘 동기화 자동화 (Figma에서 SVG 다운로드, XML 변환, drawable 폴더 이동, 커밋 자동화), Figicon 프로그램 활용.
  • Figma 리소스 관리: CSV 파일의 일련 번호들을 Figma에 일괄 적용하는 플러그인 활용 경험 및 CI를 위한 Figma 파일 구조와 JSON 응답 간의 관계.
  • 이력서 작성 및 면접 전략: 시간순 작성, 기술 스택 나열 지양, 가독성 중시 등 이력서 작성법 및 성능 개선 수치화의 근거 마련, 에러 로그 모니터링과 사용자 경험 개선 간의 동문서답 문제점 지적.
  • 온디바이스 AI: Play Console을 통한 모델 배포 및 Gemini 3N 활용 가능성 (알림 요약, 이메일 요약, 금융 도메인 데이터 관리 등).
  • 클린 아키텍처: 관심사 분리의 중요성, 원칙에만 몰두하지 않는 개발 자세, Domain 레이어의 기획 의도 반영.

개발 임팩트
대규모 프로젝트의 복잡성을 관리하는 실질적인 아키텍처 패턴과 기술 도입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으며, CI/CD 자동화를 통해 개발 효율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면접 등에서 자신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어필하는 전략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글 작성자는 컨퍼런스 연사 중 한 명이 "찰스의 안드로이드"의 찰스님이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표했으며, 다른 학교 선배와의 우연한 만남을 통해 개발 커뮤니티의 좁음을 다시 한번 느꼈다고 언급했습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