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Socket 대안: EventSource를 활용한 효율적인 서버-클라이언트 실시간 통신
🤖 AI 추천
실시간 데이터 푸시가 필요한 프론트엔드 개발자 및 백엔드 개발자에게 EventSource는 WebSocket 설정 부담 없이 간결하게 실시간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단방향 데이터 전송만 필요한 서비스라면 EventSource 도입을 적극 검토해볼 만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본 콘텐츠는 실시간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위해 WebSocket 외에 EventSource(Server-Sent Events, SSE)라는 대안 기술을 소개하고, 그 특징과 구현 방법을 설명합니다. EventSource는 HTTP 기반의 단방향 통신으로,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푸시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EventSource 기본 원리: 클라이언트가 HTTP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text/event-stream
헤더와 함께 연결을 유지하며 데이터를 계속 스트리밍합니다. - 클라이언트 구현: JavaScript
EventSource
객체를 사용하여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onopen
,onmessage
,onerror
이벤트를 통해 연결 상태 및 수신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JSON 데이터 수신 시JSON.parse()
를 사용하여 파싱할 수 있습니다. - 서버 구현 (Node.js 예시): Express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notifications
엔드포인트를 설정하고,Content-Type: text/event-stream
및Cache-Control: no-cache
헤더를 설정합니다.res.write()
를 통해 `data: { ... }
형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setInterval`로 주기적인 데이터 푸시를 구현하고 클라이언트 연결 종료 시 인터벌을 해제합니다.
* 주요 특징 및 제약사항:
* 단방향 통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WebSocket은 양방향)
* HTTP 기반: 별도의 프로토콜 설정 없이 표준 HTTP를 사용합니다.
* 브라우저 호환성: 대부분의 최신 브라우저에서 지원됩니다.
* 자동 재연결: 연결이 끊어졌을 때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재연결을 시도합니다.
* 사용 사례: 실시간 알림, 대시보드 업데이트, 주가 변동, 스포츠 점수, 로그 스트림, 댓글 피드 등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 푸시가 필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 WebSocket과의 비교: EventSource는 WebSocket에 비해 설정이 간편하며, 양방향 통신이 필요 없다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개발 임팩트
EventSource는 개발자가 실시간 데이터 푸시 기능을 구현할 때 WebSocket의 복잡한 설정(핸드셰이크, 프로토콜 관리 등)을 피하면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통신 채널을 구축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개발 생산성 향상과 유지보수 용이성 증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본문에는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은 언급되지 않았으나, EventSource는 특정 시나리오에서 WebSocket의 간단한 대안으로 꾸준히 논의되는 기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