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js 비동기 에러 처리를 위한 Clean & Scalable 패턴: asyncHandler와 express-error-toolkit 활용법
🤖 AI 추천
Node.js 및 Express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백엔드 개발을 하는 모든 레벨의 개발자, 특히 비동기 작업 중 발생하는 에러 처리 방식을 개선하고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고자 하는 개발자에게 강력히 추천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Node.js 및 Express.js 환경에서 비동기 작업(예: 데이터베이스 쿼리, API 호출) 시 async/await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서버 크래시 및 예측 불가능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에러 처리 패턴을 제시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기존 방식의 문제점: 모든 라우트에 try-catch
구문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코드 중복, 가독성 저하, 실수 가능성을 야기합니다.
* asyncHandler()
도입: 비동기 함수를 래핑하여 Promise
의 에러를 자동으로 next()
로 전달함으로써 try-catch
없이 에러 처리를 단순화합니다.
javascript
const asyncHandler = (fn) => {
return (req, res, next) => {
Promise.resolve(fn(req, res, next)).catch(next);
};
};
* express-error-toolkit
활용: asyncHandler()
, 사전 정의된 에러 클래스(NotFoundError
, BadRequestError
등), 전역 에러 핸들러, 개발 환경에서의 클린한 스택 트레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소개합니다.
javascript
const { asyncHandler } = require('express-error-toolkit');
app.get('/api/users/:id', asyncHandler(async (req, res) => {
// ...
}));
* 커스텀 에러 클래스 정의: 에러의 상태 코드와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의 에러 클래스(ApiError
)를 생성하여 에러 처리를 더욱 명확하게 합니다.
javascript
class ApiError extends Error {
constructor(statusCode, message) {
super(message);
this.statusCode = statusCode;
// ...
}
}
* 전역 에러 핸들러 설정: 모든 미들웨어 체인의 끝에 추가하여 모든 에러를 중앙에서 포착하고, 에러 상태 코드와 메시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일관된 형식으로 응답합니다.
javascript
app.use((err, req, res, next) => {
const status = err.statusCode || 500;
const message = err.message || 'Internal Server Error';
// ... 응답 로직
});
* 통합 예제: express-error-toolkit
을 활용하여 asyncHandler
, NotFoundError
, globalErrorHandler
를 함께 사용하는 종합적인 예제를 제공합니다.
개발 임팩트: 코드를 더 깔끔하고, 재사용 가능하며, 유지보수하기 쉽게 만들어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에러 발생 시 서버의 안정성을 높이고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여 서비스의 견고함을 강화합니다. 결과적으로 프로덕션 레디(production-ready)한 Express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기여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 언급은 없으나, 이러한 패턴은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널리 사용되고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모범 사례입니다.)
톤앤매너: 전문적이고 실용적인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톤을 유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