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마, 한국 시장 본격 공략과 올인원 플랫폼 전환 선언: AI 시대 디자이너 역할 재정의
🤖 AI 추천
피그마의 한국 시장 확장 전략, 새로운 올인원 플랫폼 기능, 그리고 AI 시대 디자이너의 역할 변화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고 싶은 모든 직군의 IT 전문가.
🔖 주요 키워드

피그마, 한국 시장 본격 공략 및 올인원 플랫폼 도약 선언
글로벌 디자인 협업 툴 피그마가 한국어 지원 업데이트를 기념하며 본격적인 한국 시장 진출과 자사 제품 생태계 확장을 선언했습니다. 피그마의 최고 제품 책임자(CPO) 유키 야마시타는 방한하여 한국 시장의 높은 잠재력과 사용자 규모를 강조하며, 아이디어 구상부터 발행, 마케팅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올인원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위한 전략을 공유했습니다.
주요 내용:
-
한국 시장 공략 강화:
- 지난 1년간 한국에서 하루 평균 7만 5천 개 이상의 디자인 파일이 생성되는 등 한국 시장의 높은 성장 가능성과 사용자 규모를 확인했습니다.
- '카카오뱅크', '당근' 등 다수의 주요 앱 서비스가 피그마를 주요 디자인 툴로 사용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한국 디자이너들의 타이포그래피, 한글/영어 혼용 환경에서의 시각적 완성도 중시 등 한국 특유의 디자인 감각과 니즈를 이해하고 제품 로컬라이징에 힘쓰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 한국어 UI 지원뿐만 아니라 영업, 마케팅, 고객 지원 등 전담 팀을 투입하여 지속적인 로컬라이징 지원과 한국 시장 접점 확대를 예고했습니다.
-
올인원 플랫폼으로의 도약:
- 월간 활성 사용자 중 3분의 2가 디자이너가 아닌 비디자이너(마케터, 개발자 등)인 점을 바탕으로, 디자인 단계를 넘어 프로토타이핑, 퍼블리싱까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완결하는 전략을 추진합니다.
- 신규 제품 서비스 4종 발표:
- 피그마 메이크(Figma Make): 프롬프트나 기존 디자인을 기반으로 프로토타입을 자동 생성하는 프롬프트 투 코드 도구.
- 피그마 사이트(Figma Site): 코딩 없이 디자이너가 직접 웹사이트를 제작 및 배포할 수 있는 기능.
- 피그마 드로우(Figma Draw): 브러시, 텍스처 등 정교한 드로잉 및 고급 벡터 드로잉 기능 제공.
- 피그마 버즈(Figma Buzz): 브랜드 이미지 및 에셋 자동 생성 기능으로 마케터 지원.
- 이러한 기능들은 아이디어 구상(피그잼, 피그마 슬라이드) → 시각화(피그마 디자인) → 코드 변환(데브 모드) → 웹사이트 구축/퍼블리싱(피그마 사이트) → 마케팅(피그마 버즈)까지 전 과정을 피그마 내에서 지원합니다.
- 비디자이너도 디자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든 사람이 디자인할 수 있게 한다'는 피그마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
AI 시대, 디자이너 역할 변화:
- AI는 작업 지시 실행에 뛰어나지만, '무엇을 만들지' 결정하는 것은 여전히 사람의 몫입니다.
- 미래 디자이너는 픽셀 단위 작업보다 제품 방향성 및 문제 정의 등 상위 레벨에서의 의사결정에 집중하게 될 것입니다. (더 상위 스택으로의 이동)
- AI는 디자이너가 전략적이고 경험적인 문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며, 좋은 디자이너는 AI에게 '더 좋은 방향이 있을 수 있다'는 질문(What if?)을 던질 수 있어야 합니다.
- AI 시대는 디자이너에게 위기가 아닌 기회이며, 현재는 모바일 플랫폼 등장 시점과 유사한 디자인 패러다임의 전환점이라 분석했습니다.
개발 임팩트:
- 디자인 워크플로우의 효율성 극대화 및 협업 간소화.
- 비디자이너의 디자인 참여 확대 및 민주화.
- AI와의 협업을 통한 디자이너의 전략적 역할 강화 및 창의성 증대.
- 한국 시장 특화 기능 및 지원을 통한 사용자 경험 향상.
커뮤니티 반응:
- '피그마 메이커 콜렉티브' 행사 참여자들은 새로운 기능들을 통한 업무 능력 향상에 대한 기대감을 표했습니다.
- 디자인팀과 개발팀 간의 갈등 해소 및 상호 이해 증진에 대한 기대감도 나타났습니다.
📚 관련 자료
Figma
해당 저장소는 Figma API를 활용한 다양한 클라이언트 및 플러그인 개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문에서 언급된 Figma의 확장성과 새로운 기능 구현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관련도: 98%
Prompt-to-Code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공개한 프롬프트 기반 코드 생성 프로젝트로, 본문에서 언급된 '피그마 메이크'와 같은 AI 기반 프로토타입 자동 생성 기술의 원리와 가능성을 이해하는 데 참고할 수 있습니다.
관련도: 75%
No-Code Website Builders
다양한 노코드 웹사이트 빌더 도구들을 모아놓은 저장소로, '피그마 사이트'와 같이 코딩 없이 웹사이트를 제작할 수 있는 기능의 트렌드와 관련 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관련도: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