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pyter에서 프로덕션 API까지: 고객 이탈 예측 ML 파이프라인 구축 사례

🤖 AI 추천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하여 실제 서비스에 배포하는 과정을 경험하고 싶은 백엔드 개발자, ML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에게 추천합니다. 특히 모델 학습부터 API 서빙, 데이터 관리까지 ML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대한 실무적인 지식을 얻고 싶은 분들에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Jupyter에서 프로덕션 API까지: 고객 이탈 예측 ML 파이프라인 구축 사례

핵심 기술

본 콘텐츠는 머신러닝 모델 개발부터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의 API 서비스 구축까지, ML 라이프사이클 전반을 다루는 실용적인 가이드입니다. 특히 Jupyter Notebook에서 개발된 모델을 FastAPI 기반의 서비스로 배포하고, 사용자 관리 및 데이터 영속성을 확보하는 과정을 상세히 보여줍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ML 파이프라인 구축: scikit-learnPipeline과 사용자 정의 Transformer를 활용하여 도메인 특화된 피처 엔지니어링 로직을 캡슐화하고 재현성을 확보했습니다.
    • durationTransform 클래스를 사용하여 날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독 기간을 계산하는 커스텀 트랜스포머 구현.
    • ColumnTransformer를 이용한 OneHotEncoder와 커스텀 트랜스포머의 조합.
  • 불균형 데이터 처리: 고객 이탈과 같은 불균형 데이터셋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esample을 이용한 언더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여 모델 성능을 향상시켰습니다.
  • FastAPI 프로덕션 API: RESTful API를 통해 ML 모델을 서비스하기 위한 Fast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했습니다.
    • pydantic을 활용한 데이터 유효성 검사 및 자동 API 문서 생성 (/docs).
    • 다양한 엔드포인트와 사용자 요청 처리를 위한 구조 설계.
    • 예외 처리(HTTPException)를 통한 견고한 서비스 구축.
  • 데이터 영속성 및 사용자 관리: json 파일을 사용하여 사용자 ID 생성, 검증 및 예측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 validuser 함수: 사용자 ID의 중복을 방지하고 신규 ID를 발급하는 로직.
    • saveprediction 함수: 예측 결과를 사용자 데이터와 함께 파일에 저장하는 로직.
  • 모델 직렬화: cloudpickle 라이저를 사용하여 커스텀 트랜스포머를 포함한 복잡한 ML 파이프라인 및 모델 객체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로드했습니다.
  • 시스템 아키텍처: Jupyter Notebook에서의 개발, FastAPI 서비스, 프로덕션 배포 단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구조를 시각적으로 제시했습니다.

개발 임팩트

  • ML 모델의 프로덕션 배포 장벽을 낮추고 실제 서비스 적용 가능성을 높입니다.
  • 코드의 재현성과 일관성을 보장하여 개발 및 유지보수 효율성을 증대시킵니다.
  • 데이터 유효성 검사 및 견고한 오류 처리를 통해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 MLOps 파이프라인 구축에 대한 실질적인 경험과 노하우를 제공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