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Copilot Chat과 HashiCorp Terraform MCP 서버 통합 가이드 및 초기 경험

🤖 AI 추천

이 콘텐츠는 GitHub Copilot Chat과 HashiCorp Terraform MCP 서버를 연동하여 Terraform 개발 경험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개발자, 특히 초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Terraform 레지스트리 탐색 및 모듈 추천 기능의 초기 구현 및 활용 방안에 관심 있는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GitHub Copilot Chat과 HashiCorp Terraform MCP 서버 통합 가이드 및 초기 경험

핵심 기술

HashiCorp에서 출시한 Terraform MCP(Meta Compute Platform) 서버와 GitHub Copilot Chat을 VS Code에서 통합하여 Terraform 레지스트리 정보를 활용하고 코드 추천을 받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사전 준비사항: Docker 설치 및 실행, 최신 버전의 VS Code 및 GitHub Copilot 설정.
  • MCP 서버 설치: Docker Hub에서 hashicorp/terraform-mcp-server:latest 이미지 다운로드.
  • VS Code 설정:
    • GitHub Copilot Chat의 Agent 모드 활성화.
    • MCP 서버 활성화.
    • mcp.json 파일을 .vscode 폴더 내에 생성하여 MCP 서버 설정 (JSON { "servers": { "terraform": { "command": "docker", "args": ["run", "-i", "--rm", "hashicorp/terraform-mcp-server"] } } }).
    • mcp.json 파일의 "Add Server ..." 버튼 대신 직접 JSON 내용 붙여넣기.
    • mcp.json 파일 내에서 "start" 링크를 클릭하여 MCP 서버 컨테이너 시작.
  • Copilot Chat 연동 확인: Copilot Chat의 툴 아이콘을 통해 MCP 서버 및 제공되는 툴셋 확인.
  • 기능 활용 예시:
    • SAP BTP Terraform provider의 엔타이틀먼트 및 리소스 정보 질의.
    • SAP BTP Terraform provider의 모듈 정보 질의 (초기에는 일부 모듈 누락 가능성).
    • 특정 모듈(예: HANA 모듈)을 직접 질의하여 찾는 방식 시연.

개발 임팩트

  • Terraform 개발 초기 단계 또는 특정 Provider 사용 시, Copilot Chat을 통해 레지스트리 검색 및 코드 추천을 자동화하여 생산성 향상.
  • MCP 서버의 질의 과정을 투명하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AI의 추론 과정을 이해하고 디버깅하는 데 도움.
  • 아직 초기 단계(베타, v0.1.0)인 만큼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음.

커뮤니티 반응

  • 문서가 다소 불명확하여 초기 설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경험 공유.
  • 경험이 많은 사용자에게는 현재 단계에서 제한적인 가치를 느낄 수 있으나, 향후 발전이 기대됨.

톤앤매너

본 글은 VS Code와 GitHub Copilot Chat을 활용하여 Terraform 개발 경험을 개선하고자 하는 개발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설정 가이드 및 사용 후기입니다. 기술적인 세부 사항과 함께 초기 버전의 한계점 및 개선점을 솔직하게 공유하며, 독자가 MCP 서버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