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언어로 배우는 Publish-Subscribe 패턴: 이벤트 버스 구현 가이드
🤖 AI 추천
Go 언어를 사용하여 분산 시스템 및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EDA)의 Publish-Subscribe 패턴을 구현하고 싶은 백엔드 개발자 및 시스템 설계자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특히, Go의 동시성 및 채널 기능을 활용하여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이벤트 버스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을 얻고자 하는 미들 레벨 이상의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Go 언어의 동시성 기능과 채널을 활용하여 마이크로서비스 및 분산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통신 수단이 되는 Publish-Subscribe 패턴 기반의 이벤트 버스를 구현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EDA):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직접적인 인터페이스 호출 대신 이벤트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으로, 느슨한 결합 및 확장성 향상에 기여합니다.
- Publish-Subscribe 패턴: 컴포넌트가 이벤트를 발행하고, 다른 컴포넌트가 해당 이벤트에 구독하여 응답하는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MQ, Redis PUB/SUB 등이 기술적 구현 예시로 언급됩니다.
- Go 이벤트 버스 구현: Go의 채널과 동시성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EventBus
구조체를 설계하고Publish
,Subscribe
,Unsubscribe
메서드를 구현합니다.Event
구조체:Payload
(any 타입)를 포함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캡슐화합니다.EventBus
구조체:sync.RWMutex
를 사용하여 동시성 제어를 하고,map[string][]EventChan
형태의subscribers
맵으로 토픽별 구독자를 관리합니다.Publish
메서드: 읽기 잠금(RLock)으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구독자 목록을 복사하여 새로운 고루틴에서 각 구독자에게 이벤트를 전달합니다. 구독자 목록 복사는 데이터 불변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Subscribe
메서드: 쓰기 잠금(Lock)으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새로운EventChan
을 생성하여 해당 토픽의 구독자 목록에 추가합니다.Unsubscribe
메서드: 쓰기 잠금(Lock)으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특정 토픽의 구독자 목록에서 채널을 제거한 후 채널을 닫고 드레인(drain)합니다.
- 예제 코드:
main
함수에서 이벤트 버스 생성, 구독, 발행, 구독 취소 과정을 보여주는 Go 예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개발 임팩트
- 디커플링: 서비스 간의 의존성을 줄여 시스템의 유연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입니다.
- 비동기 처리: 시스템의 응답성과 성능을 개선합니다.
- 확장성: 새로운 구독자 추가가 기존 코드 변경 없이 용이합니다.
- 장애 격리: 이벤트 처리 실패가 다른 서비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강화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콘텐츠 내에서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향후 확장 방향
- 이벤트 지속성 (Event Persistence)
- 와일드카드 및 패턴 매칭 구독
- 로드 밸런싱 및 메시지 분산 전략
- 플러그인 지원 (로깅, 필터링, 변환 등)
📚 관련 자료
go-micro
go-micro는 Go로 빌드된 마이크로서비스 프레임워크로, Pub/Sub 패턴을 포함한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며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구현에 있어 훌륭한 레퍼런스가 됩니다. 본문에서 구현한 이벤트 버스와 유사한 개념들을 서비스 디스커버리, RPC 등과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관련도: 90%
nats-streaming-server
NATS는 고성능 메시징 시스템으로, 스트리밍 서버는 Pub/Sub 패턴을 통해 이벤트를 안정적으로 전달합니다. 본문에서 구현된 자체 이벤트 버스와 달리, 전문 메시징 시스템의 구현 사례를 보여주며 확장성과 내구성을 고려한 아키텍처 설계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관련도: 75%
go-redis
본문에서 Redis PUB/SUB를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의 기술적 구현 예시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go-redis 라이브러리는 Go에서 Redis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며, Redis의 PUB/SUB 기능을 활용하여 이벤트 버스를 구축하는 실제적인 예시로 참고할 수 있습니다.
관련도: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