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언어 포인터의 동작 방식: 메모리 주소와 값의 이해
🤖 AI 추천
Go 언어를 처음 배우거나 변수의 메모리 관리 및 포인터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싶은 주니어 개발자 및 프로그래밍 학습자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Go 언어에서 변수가 메모리에 어떻게 저장되고 접근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돕는 콘텐츠로, 메모리 주소, 값, 그리고 포인터의 개념을 비유를 통해 쉽게 설명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 방식: 컴퓨터는 변수 이름을 직접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address)와 그곳에 저장된 값(value)으로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 RAM의 비유: RAM을 아파트 건물에 비유하여 각 메모리 셀(room)은 고유한 주소를 가지며 값을 저장합니다. CPU는 주소를 통해 특정 메모리 셀에 접근합니다.
- 데이터 접근 과정: CPU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주소를 보내고, 컨트롤러는 해당 주소의 메모리 셀에서 값을 읽거나 씁니다.
- Go에서의 변수 할당:
age := 42
와 같은 코드는 Go 시스템이 RAM에42
를 저장할 공간을 할당하고, 컴파일 시 심볼 테이블(Symbol Table)을 통해age
라는 변수 이름과 할당된 메모리 주소를 매핑합니다 (age → 0x1000
). - 포인터(Pointer): 다른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입니다.
ptr := &age
에서&
연산자는age
의 주소를 가져와ptr
에 저장합니다.ptr
자체는42
라는 값이 아닌0x1000
이라는 주소를 가집니다. - 포인터 연산자:
&
(Address-of):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얻습니다.*
(Dereference): 포인터가 가리키는 주소에 저장된 값을 가져오거나 수정합니다. (*ptr = 100
은age
의 값을 100으로 변경합니다.)
new()
함수: Go에서 메모리를 할당하고 해당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ptr := new(int)
는 정수를 저장할 메모리를 할당하고ptr
에 해당 주소를 저장합니다. 이후*ptr = 42
로 값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Pass-by-Value: Go는 함수 호출 시 기본적으로 값 복사(pass-by-value)를 사용합니다. 함수 내부에서 매개변수의 값이 변경되어도 원본 변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포인터를 사용하여 원본 데이터에 직접 접근할 수 있습니다.
개발 임팩트
이해를 통해 Go의 메모리 모델을 깊이 이해하고, 함수 간 데이터 전달 시 복사 오버헤드를 줄이거나 원본 데이터를 직접 수정해야 하는 상황에서 포인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성능 최적화 및 더 유연한 코드 작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내용 중에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 언급은 없으나, 포인터와 메모리 관리는 Go를 비롯한 많은 언어에서 개발자들이 반드시 숙지해야 할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꾸준히 논의됩니다.
📚 관련 자료
go
Go 언어 자체의 소스 코드 저장소입니다. 컴파일러, 런타임 등 포인터가 처리되는 저수준 구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도: 95%
go-pointers
Go의 포인터 타입 관련 유틸리티 라이브러리입니다. 포인터를 다루는 다양한 방식을 보여주며, 코드 예제를 통해 포인터의 활용을 더 깊이 탐색할 수 있습니다.
관련도: 85%
golang-nuts
Go 언어 관련 공식 메일링 리스트입니다. Go 언어의 설계 철학, 메모리 관리, 포인터 사용법 등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과 질문/답변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단, 직접적인 코드 저장소는 아닙니다.)
관련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