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경력 개발자의 Go, WASM, React 활용 게임 개발 여정: LLM과의 협업과 그 한계

🤖 AI 추천

이 콘텐츠는 Go 언어, WASM (WebAssembly), React를 활용한 게임 개발에 관심 있는 모든 개발자, 특히 게임 개발의 전체 라이프사이클과 LLM(대형 언어 모델)의 실제 적용 및 한계를 이해하고 싶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LLM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과 함께 프론트엔드 개발, 디버깅, 그리고 창의적인 디자인의 중요성을 배우고 싶은 개발자들에게 강력히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15년 경력 개발자의 Go, WASM, React 활용 게임 개발 여정: LLM과의 협업과 그 한계

핵심 기술

15년 경력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어린 시절 카드 게임('Truco', 'Escoba')을 Go 언어로 개발하는 과정을 공유하며, LLM(Claude) 활용의 장단점과 WASM, React를 이용한 프론트엔드 개발 경험을 상세히 다룹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LLM 없이 'Truco' 개발: UI 설계, 서버리스 배포 등 모든 문제를 수작업으로 해결하며 3개월 소요.
  • LLM 활용 'Escoba' 개발: LLM을 사용해 백엔드 코드 변환 및 구현 속도를 단축, 프롬프트 1회로 대부분 동작 성공. 프론트엔드는 여전히 직접 디버깅 및 구현 필요.
  • WASM (WebAssembly) 활용: Go 백엔드를 WASM으로 트랜스파일하여 프론트엔드와 연동. TinyGo를 사용하여 바이너리 크기 최적화.
  • 프론트엔드 (React): 최소한의 지식으로 프론트엔드 작성. WASM 기반 게임 상태 관리는 직접 디버깅 및 구현.
  • 배포: WASM 정적 파일을 GitHub Pages에 배포.
  • 데이터 교환: WASM에서 Go struct를 직접 사용하기 어려워 JSON 포맷으로 데이터 직렬화/역직렬화.
  • 개발 프로세스: Tic-Tac-Toe 예제를 통한 단계별 가이드 제공 (Go 백엔드, WASM 변환, React 연동).
  • LLM의 한계: 프론트엔드 역량 및 디버깅 경험의 중요성 재확인.

개발 임팩트

  • LLM 활용 시 백엔드 개발 속도 및 효율성 극대화.
  • Go와 WASM 조합을 통한 웹 기반 게임 개발의 가능성 제시.
  • 개발자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LLM 활용 시 주의점 및 필수 역량(프론트엔드, 디버깅) 강조.
  • 누구나 게임 개발에 도전할 수 있도록 실습 가이드 및 예제 코드 제공.

커뮤니티 반응

  • LLM이 코딩 자체의 장벽을 낮췄지만, 게임의 재미, 밸런싱, 폴리싱 등 더 큰 장벽은 그대로 남아있다는 지적.
  • AI가 구현뿐만 아니라 플레이테스트까지 수행하는 미래에 대한 기대와 함께, AI가 진정한 인간의 몰입도를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 제기.
  • Unity와 같은 개발 도구의 등장으로 게임 개발 양적 성장이 이루어졌다는 반론.
  • AI가 인간처럼 게임을 즐기거나 경험할 수 없기에, 인간 고유의 가치와 역할이 중요해질 것이라는 의견.
  • LLM이 복잡한 신규 프로젝트보다 이미 잘 알려진 패턴의 프로젝트에서 더 큰 효과를 발휘한다는 점.
  • 개발자의 '내면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언급.
  • 코딩 구현보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것이 더 어렵다는 의견과, 이에 대한 반론.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