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계 최고' AI 파운데이션 모델 확보 위한 특화 프로젝트 추진

🤖 AI 추천

AI 연구 개발자, 머신러닝 엔지니어, 관련 기술 스타트업 종사자, 정부 R&D 사업 참여 희망자

🔖 주요 키워드

정부, '세계 최고' AI 파운데이션 모델 확보 위한 특화 프로젝트 추진

핵심 기술

정부가 특정 전문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확보하기 위해 '인공지능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본 프로젝트는 최신 GPU 컴퓨팅 자원을 현물로 지원하며, 초기 단계부터 모델을 설계하거나 대규모 데이터를 사전 학습시키는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방식을 통해 AI의 환각(Hallucination) 오류를 최소화하고 높은 신뢰성과 정확도를 목표로 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프로젝트 목표: 특정 전문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AI 파운데이션 모델 확보.
  • 지원 내용: 선정된 2개 팀에게 엔비디아 B200 GPU 256장 현물 지원. (인력, 데이터 등 기타 지원 없음)
  • 개발 방식: 기존 모델 조정(Fine-tuning) 방식 불가. 모델 설계 또는 대규모 데이터 사전 학습 방식만 지원.
  • 오류 최소화: '프롬 스크래치' 방식을 통한 고품질 데이터 학습으로 AI 환각 오류 최소화 및 신뢰성/정확도 향상.
  • 지원 대상 제외: 기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 주관 기관 (네이버, SK텔레콤, LG AI연구원, NC AI, 업스테이지)은 이번 사업 주관 불가.
  • 참여 자격: 대기업은 참여 기관으로만 참여 가능. 대학의 필수 참여 의무화.
  • 민간 부담금: GPU 자원 가치에 상응하는 민간 부담금 의무화 (기업 규모, 오픈소스 공개 여부에 따라 차등).
  • 민간 부담금 산정: GPU 한 장당 월 660만원 가치 책정. 상업용 + 오픈소스 공개 시 대기업 10%, 중견 6%, 중소 5% 부담 비율 적용. 모델 미공개 시 부담 비율 상승.
  • 현금 부담 비율: 중소기업 10% 이상, 중견기업 13% 이상, 대기업 15% 이상 현금 부담.
  • 현물 인정 범위: 참여 인력 인건비, 유형 자산 (보유 데이터 가치는 현물 불인정).
  • 데이터 확보: 전적으로 참여 기관의 책임 하에 민간 부담으로 확보.
  • 프로젝트 기간: 총 10개월 (11월 ~ 익년 9월), 5개월 단위 2단계 진행, 중간 평가.
  • 개발 결과물: 개발된 모델은 오픈소스로 공개하여 국내 AI 생태계 기여.

개발 임팩트

  • 국내 AI 기술력의 특정 전문 분야에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 고품질, 고신뢰성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생태계 조성.
  • 대학과 산업계 간 협력을 통한 AI 인력 양성 및 실무 경험 제공.
  • 오픈소스 공개를 통한 국내 AI 생태계 전반의 기술 수준 향상.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 커뮤니티 반응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