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 만에 GraphQL 이해하기: REST와의 비교 및 장단점 분석

🤖 AI 추천

이 콘텐츠는 API 개발 방식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싶은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특히 REST API에 익숙하지만 GraphQL의 효율성과 유연성을 경험해보고 싶은 개발자에게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3분 만에 GraphQL 이해하기: REST와의 비교 및 장단점 분석

핵심 기술

이 글은 모바일 앱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acebook에서 개발된 API 빌딩 방식인 GraphQL을 3분 안에 이해하도록 돕는 가이드입니다. REST API의 여러 요청으로 인한 비효율성을 GraphQL의 단일 요청 및 맞춤형 응답으로 개선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GraphQL의 정의: REST의 다중 엔드포인트와 고정된 응답 방식과 달리, 단일 엔드포인트에서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를 정확히 요청할 수 있는 API 빌딩 방식입니다.
  • REST의 단점: 단일 화면 로딩을 위해 여러 API 호출(예: 사용자 정보, 게시물, 팔로워 정보)이 필요하며, 이는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javascript // REST: Multiple trips to get data await fetch('/users/123') // Get user await fetch('/users/123/posts') // Get posts await fetch('/users/123/followers') // Get followers // 3 requests = slow
  • GraphQL의 장점: 단 한 번의 요청으로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어 빠릅니다.
    graphql // GraphQL: One trip, exactly what you need query{user(id:123){name posts{title} followers{count}}} // 1 request = fast
  • GraphQL 스키마: 데이터 타입과 필드를 정의하여 API의 구조를 명확히 합니다. !는 필수가 아님을 나타냅니다.
    graphql type User{ id: ID! name: String! posts: [Post!]! } type Post { id: ID! title: "String!" author: User! }
  • GraphQL 쿼리: 필요한 데이터를 명시적으로 요청합니다.
    graphql query{ user(id:"123"){ name posts{ title likes } } }
  • GraphQL 뮤테이션: 데이터 생성, 수정, 삭제와 같은 작업에 사용됩니다.
    graphql mutation{ createPost(title:"\"Hello World\") { id title } }
  • 장점: 과도한 데이터 전송(over-fetching) 및 부족한 데이터 전송(under-fetching) 방지, 자체 문서화(스키마), 다양한 클라이언트(모바일, 웹)의 유연한 API 사용 가능.
  • 단점: 캐싱 복잡성(Apollo Client 등 도구 필요), N+1 쿼리 문제, 학습 곡선, 여러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요구사항 차이, 다수의 API 호출, 복잡한 데이터 관계, 실시간 기능 구현.

개발 임팩트

GraphQL을 사용하면 API 호출 수를 줄여 클라이언트 측 애플리케이션의 응답 속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한 데이터만 정확하게 요청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적화하고 개발자는 API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는 커뮤니티 반응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습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