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이미지 크기 1.5GB에서 200MB로 줄이기: 실용적인 최적화 기법

🤖 AI 추천

React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론트엔드 프로젝트를 Docker로 배포하는 개발자, Docker 이미지 최적화를 통해 빌드 시간 단축, 스토리지 절감, CI/CD 파이프라인 효율화를 목표로 하는 DevOps 엔지니어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Docker 이미지 크기 1.5GB에서 200MB로 줄이기: 실용적인 최적화 기법

핵심 기술

이 글은 React 애플리케이션 Docker 이미지의 크기를 1.5GB에서 200MB로 줄인 실질적인 경험을 공유하며, .dockerignore 활용, Multi-stage Build 적용, 경량 베이스 이미지 선택 등 Docker 이미지 최적화를 위한 구체적인 기법을 제시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문제 정의: 정적 프론트엔드 앱임에도 1.5GB에 달하는 bloated Docker 이미지로 인한 배포 지연, 스토리지 소비 증가, CI/CD 파이프라인 비효율성 문제 제기
  • 원인 분석: .dockerignore 파일 부재, 싱글 스테이지 빌드 사용, 최적화되지 않은 베이스 이미지 (node:18-alpine 사용했으나 호환성 문제 고려)
  • 해결 방안:
    • .dockerignore 파일 활용: node_modules, .git, build 등 불필요한 파일 및 폴더 복사를 방지하여 빌드 시간 단축 및 이미지 크기 감소
    • Multi-stage Builds 적용: 빌더 스테이지(의존성 설치 및 빌드)와 프로덕션 스테이지(빌드 결과물만 복사)로 분리하여 최종 이미지에 개발 소스 코드나 불필요한 의존성 제거
    • 경량 베이스 이미지 선택: node:18-alpine 대신 node:18-slim을 사용하여 Alpine의 잠재적 호환성 문제 없이도 슬림한 이미지 유지
  • 결과 비교: 이미지 크기 1.5GB에서 200MB로 감소, 빌드 전략 변경 (Single-stage → Multi-stage), 베이스 이미지 변경 (node:18-alpinenode:18-slim), .dockerignore 추가, 복사 파일 최소화 (build/ 결과물만)

개발 임팩트

  • 이미지 크기 감소: 풀(Pull)/푸시(Push) 속도 향상, 스토리지 비용 절감
  • 빌드 속도 향상: 특히 CI/CD 파이프라인에서 효율성 증대
  • 보안 강화: 불필요한 소스 코드 및 비밀 정보 이미지 내 포함 방지
  • 이식성 및 경량화: 마이크로서비스, 서버리스, 엣지 배포에 적합한 이미지 생성

커뮤니티 반응

콘텐츠 말미에 GitHub 저장소 링크를 제공하며, 커뮤니티 참여(클론, 스타)와 질문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1GB 컨테이너를 아직도 사용하고 있다면 친구에게 공유하라"는 위트 있는 메시지를 통해 콘텐츠 확산을 유도합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