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 스크롤에서 가상 스크롤로: DOM 성능 최적화 및 UX 개선 심층 분석
🤖 AI 추천
대규모 데이터 목록을 효율적으로 렌더링해야 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웹 성능 최적화에 관심 있는 개발자, React Query 및 가상 스크롤 라이브러리 활용 경험을 쌓고 싶은 개발자에게 강력히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이 글은 대규모 데이터 목록을 다룰 때 발생하는 브라우저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상 스크롤(Virtual Scroll) 기술을 무한 스크롤(Infinite Scroll) 구현과 비교하며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TanStack Query의 useInfiniteQuery
와 @tanstack/react-virtual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실질적인 구현 과정을 단계별로 제시하여, DOM 부하를 최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무한 스크롤의 필요성 및 한계: 초기 로딩 속도 개선 및 UX 향상을 위해 사용되지만, DOM 요소 누적으로 인한 브라우저 성능 저하 및 렌더링 에러 발생 가능성을 언급합니다.
- 가상 스크롤의 원리: 보이는 영역의 데이터만 렌더링하고 보이지 않는 요소는 DOM에서 제거하여 전체 노드 수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성능 문제를 해결합니다.
- 무한 스크롤 구현: Intersection Observer API 또는 React Query의
useInfiniteQuery
를 사용하여 스크롤 하단 감지 및 다음 데이터 페칭을 구현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useInfiniteQuery
를 활용하여 API 요청, 데이터 병합, 로딩 상태 관리를 자동화합니다.IntersectionObserver
로 마지막 요소가 뷰포트에 닿는 시점을 감지하여fetchNextPage
를 호출합니다.- 실제 구현 코드 예시를 제공합니다.
- 가상 스크롤 구현:
scrollTop
과 아이템 높이를 기준으로 화면에 보여줄 데이터의 시작/끝 인덱스를 계산하여 해당 구간만 렌더링합니다.@tanstack/react-virtual
의useVirtualizer
훅을 사용하여 구현합니다.- 고정 높이의 스크롤 가능한 컨테이너(
overflow: auto
) 내에서 전체 스크롤 높이를 확보하고,absolute
위치를 사용하여 화면에 보이는 아이템만 효율적으로 렌더링합니다. - 무한 스크롤 로직과 연동하여 데이터 페칭과 가상 스크롤 렌더링을 결합합니다.
- 실제 구현 코드 예시를 제공합니다.
- 성능 비교: 무한 스크롤 구현 시 성능 점수(87점)와 가상 스크롤 적용 후 성능 점수 향상(92점)을 시각적으로 비교하여 기술의 효과를 입증합니다.
개발 임팩트
- 대규모 데이터셋을 다룰 때 발생하는 브라우저 성능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반응성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부드럽고 빠른 스크롤 경험을 제공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고 이탈률을 감소시키는 UX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복잡한 UI에서도 효율적인 렌더링을 구현함으로써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기술 스택을 강화하고 전문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 작성자는 면접 질문이나 팀원의 리팩토링 경험을 통해 가상 스크롤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직접 구현하게 된 과정을 공유하며, 성능 최적화가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필수적인 역량임을 강조합니다. 또한, 스크롤 위치 복원과 같은 다음 단계의 고민을 제시하며 기술 탐구에 대한 열정을 보여줍니다.
📚 관련 자료
tanstack/react-query
이 글에서 무한 스크롤 구현을 위해 핵심적으로 사용된 라이브러리로, 데이터 페칭, 캐싱, 상태 관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
관련도: 95%
tanstack/virtual
가상 스크롤 구현의 핵심 라이브러리입니다. 대규모 리스트 렌더링 성능 최적화를 위한 `useVirtualizer` 훅을 제공하며, 이 글의 가상 스크롤 구현에 직접적으로 활용되었습니다.
관련도: 98%
web-platform-tests/wpt
Intersection Observer API와 같이 웹 표준 기술의 동작을 검증하는 테스트 모음입니다. 글에서 언급된 무한 스크롤 구현에 사용될 수 있는 Intersection Observer API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도: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