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 앱 개발: UIKit, UIScene, UISplitViewController, UITabBarController를 활용한 유연한 UI 구축 전략
🤖 AI 추천
iOS 개발자 중 멀티플랫폼 및 다양한 화면 크기를 지원하는 유연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자 하는 모든 레벨의 개발자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특히 새롭게 도입되는 UIScene 라이프사이클을 이해하고 적용해야 하는 개발자에게 유용할 것입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본 콘텐츠는 iOS 앱 개발에서 다양한 화면 크기와 플랫폼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UI 구축을 위한 필수적인 모범 사례와 UIKit의 주요 컴포넌트 활용법을 제시합니다. 특히, 필수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UIScene
라이프사이클과 UISplitViewController
, UITabBarController
의 업데이트된 기능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UIScene: 앱의 UI 인스턴스를 나타내며, 독립적인 상태 관리, 외부 데이터 처리(딥 링크, URL 처리), 컨텍스트 인식(화면/창 정보 제공), 다중 장면 지원 기능을 제공합니다. iOS 26 이후 SDK부터 UIScene
라이프사이클 채택이 의무화될 예정입니다.
* UISplitViewController: 다음과 같은 업데이트를 통해 유연성을 높였습니다.
* 인터랙티브 컬럼 리사이징: 분리선 드래그를 통한 컬럼 크기 조절, 포인터 모양 변화, 각 컬럼별 최소/최대/선호 너비 설정 기능.
* 적응형 레이아웃 인식: splitViewControllerLayoutEnvironment
트릿을 통해 컨트롤러가 확장 또는 축소되었는지 여부 표시 및 UI 요소의 적응.
* 인스펙터 컬럼 지원: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인스펙터 컬럼을 기본적으로 지원하며, 확장 시 후면, 축소 시 시트로 표시되는 자동 적응 기능.
* UITabBarController: 플랫폼별 자동 적응 기능을 제공합니다.
* iPhone: 하단 탭 바.
* Mac: 툴바 또는 사이드바로 표시 가능.
* Apple Vision Pro: 전면 장식으로 표시.
* iPad: 상단 또는 사이드바로 표시.
* 탭 그룹 (Tab Groups): 사이드바에서 콘텐츠 컬렉션을 표시하여 유연성을 더합니다.
* 안전 영역 (Safe Area) 존중: 내비게이션 바, 툴바, 다이내믹 아일랜드 등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위한 영역을 항상 존중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레이아웃 가이드 사용, 레이아웃 마진 활용이 중요합니다.
* 창 컨트롤 (Window Controls): macOS와 유사한 닫기, 최소화, 정렬 컨트롤이 장면(Scene)에 추가되었으며, UINavigationBar
와 같은 시스템 컴포넌트가 자동 적응합니다.
* 인터페이스 방향 관리: prefersInterfaceOrientationLocked
속성을 통해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거나, setNeedsUpdateOfPrefersInterfaceOrientationLocked
호출로 변경 사항을 알리고 didUpdateEffectiveGeometry
에서 상태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 성능 최적화: 계산 비용이 많이 드는 UI 요소의 경우, isInteractivelyResizing
을 쿼리하여 리사이징 상호작용 중에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방지해야 합니다.
* Deprecated Features: UIRequiresFullscreen
Info.plist 키가 무시되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 SDK 변경사항: iOS 26 SDK부터는 새로운 화면 크기에 대한 자동 스케일링/레터박싱이 제거되어 앱에서 네이티브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개발 임팩트: 이러한 패턴과 API를 채택함으로써 개발자는 기기, 창 크기, 플랫폼 구성에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훌륭한 경험을 제공하는 유연하고 미래 지향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만족도 향상과 장기적인 유지보수성을 보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