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ES2022: Object.hasOwn으로 프로토타입 체인으로부터 안전하게 자체 속성 확인하기

🤖 AI 추천

JavaScript 개발자라면 누구나, 특히 프로토타입 기반 상속으로 인한 잠재적 문제를 피하고 코드의 안정성과 가독성을 높이고자 하는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개발자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JavaScript ES2022: Object.hasOwn으로 프로토타입 체인으로부터 안전하게 자체 속성 확인하기

핵심 기술

ES2022 표준에 도입된 Object.hasOwn 메서드는 객체가 프로토타입 체인으로부터 상속받지 않은 자체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 안전하고 간결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문제점: 전통적인 obj.hasOwnProperty(key) 방식은 obj 자체가 hasOwnProperty 메서드를 재정의(shadowing)하거나 삭제한 경우 오작동할 수 있습니다.
  • 안전한 전통적 방식: Object.prototype.hasOwnProperty.call(obj, key)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만, 구문이 장황하고 반복적입니다.
  • Object.hasOwn 소개: ES2022에서 추가된 정적 메서드로, Object.hasOwn(obj, prop) 형태로 사용됩니다. obj는 대상 객체, prop은 확인할 속성 키(문자열 또는 심볼)입니다.
  • 동작 방식: objprop이라는 자체 속성을 가지고 있으면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상속된 속성은 false로 간주합니다.
  • 예제: const user = { name: "Alice" }; Object.hasOwn(user, "name"); // true, Object.hasOwn(user, "toString"); // false
  • 폴리필: 구형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if (!Object.hasOwn) { Object.hasOwn = function(...) {...} }와 같은 폴리필을 제공합니다.
  • 성능: Object.hasOwn은 내부적으로 hasOwnProperty와 동일한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성능 차이는 무시할 만합니다.

개발 임팩트

Object.hasOwn 도입으로 코드의 가독성안정성이 향상됩니다. 개발자는 프로토타입 체인 관련 잠재적 오류를 더 쉽게 방지하고, 명확하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톤앤매너

Object.hasOwn은 JavaScript 객체 속성 검사의 안전성과 표현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현대적인 기능입니다. 개발자는 이 메서드를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필요시 폴리필을 적용하여 코드의 견고성을 높이는 것이 권장됩니다. in 연산자와의 차이점을 명확히 인지하고, 자체 속성 검사가 필요할 때는 Object.hasOwn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