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앱 성능 향상을 위한 `requestIdleCallback()` 활용법: 사용자 경험 극대화 전략
🤖 AI 추천
프론트엔드 개발자, 웹 성능 최적화에 관심 있는 모든 개발자
🔖 주요 키워드
웹 앱 성능 향상을 위한 requestIdleCallback()
활용법
핵심 기술: requestIdleCallback()
은 브라우저의 메인 스레드가 유휴 상태일 때만 특정 작업을 실행하도록 예약하는 네이티브 JavaScript API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랙션 중 발생할 수 있는 UI 끊김(jank)을 줄여 애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응답성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작동 방식: requestIdleCallback()
은 브라우저가 사용자의 입력이나 애니메이션 프레임 렌더링과 같은 중요한 작업을 처리하지 않을 때 콜백 함수를 실행합니다. 이는 메인 스레드에 부하를 주지 않고 백그라운드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 사용 사례:
* 미션 크리티컬하지 않은 UI 정리 작업 (예: DOM 정리)
* 화면 밖에 있는 DOM 요소 제거
* 로깅, 트래킹, 지연 로딩
* 이벤트 처리 후 비동기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모든 작업
* 구현 예시:
javascript
onUserAction(() => {
updateUI();
requestIdleCallback(() => clearOldDOMNodes()); // 비중요 작업, 유휴 시간에 실행
});
* 폴리필 (Polyfill): 구형 브라우저 호환성을 위해 setTimeout
을 이용한 폴리필이 제공됩니다.
javascript
window.requestIdleCallback = window.requestIdleCallback || function (handler) {
return setTimeout(() => handler({ timeRemaining: () => 0 }), 1);
};
* 주의 사항: 사용자 인터랙션 직후 즉각적인 반응이 필요한 작업(예: 입력 값 검증, 화면 전환 애니메이션)에는 사용하면 안 됩니다.
개발 임팩트:
* 초기 반응 속도 향상
* 레이아웃 시프트 감소 및 부드러운 애니메이션
* 전반적인 애플리케이션의 '빠른 느낌' 증대
* 사용자 및 개발자 만족도 향상
커뮤니티 반응: 해당 기술에 대한 커뮤니티의 관심은 높으며, 특히 라이브러리 없이 브라우저 자체 기능을 활용하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스마트한 개발 타이밍"이라는 표현으로 그 효율성을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