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st Spies와 Asymmetric Matchers를 활용한 AWS SDK 유닛 테스트 전략
🤖 AI 추천
이 콘텐츠는 AWS SDK와 같은 외부 API를 사용하는 JavaScript/TypeScript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백엔드 및 풀스택 개발자들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외부 의존성으로 인해 유닛 테스트 작성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 미들 레벨 이상의 개발자들에게 실제적인 해결책과 구체적인 예시를 제공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본 콘텐츠는 복잡한 외부 API(AWS SDK)와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코드에 대한 견고한 유닛 테스트를 작성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 특히 Jest의 Spies와 Asymmetric Matchers를 활용하여 의존성을 효과적으로 모킹하고, 실제 호출 파라미터를 정확하게 검증하는 전략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문제 정의: 외부 API(예: AWS DynamoDB)를 사용하는 함수의 유닛 테스트는 실제 환경 접근 또는 복잡한 설정으로 인해 어렵습니다. 기존 모킹 기법은 호출의 정확성을 검증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 해결책: Jest Spies: Spies를 사용하여 함수의 호출을 모니터링하고, 호출 횟수 및 전달된 매개변수를 검증합니다.
jest.spyOn(object, 'methodName')
: 특정 객체의 메서드를 감시합니다..mockReturnValue(value)
: 모킹된 함수의 반환 값을 설정합니다.expect(spy).toHaveBeenCalled()
: 함수가 호출되었는지 확인합니다.expect(spy).toHaveBeenCalledTimes(number)
: 함수가 지정된 횟수만큼 호출되었는지 확인합니다.expect(spy).toHaveBeenCalledWith(arguments)
: 함수가 특정 인자와 함께 호출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문제점: 엄격한 매칭:
toHaveBeenCalledWith
는 전달된 모든 인자를 정확히 일치시켜야 하므로, SDK가 추가하는 메타데이터 등으로 인해 테스트가 실패할 수 있습니다. - 해결책: Asymmetric Matchers: Jest의 Asymmetric Matchers를 사용하면 부분적인 매칭이 가능하여, 테스트 대상 코드의 핵심 로직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expect.stringContaining(string)
: 문자열이 특정 부분 문자열을 포함하는지 확인합니다.expect.stringMatching(regex)
: 문자열이 정규 표현식과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expect.objectContaining(object)
: 객체가 특정 속성과 값을 포함하는지 확인합니다. 이는 SDK 호출 시 전달되는 복잡한 객체의 특정 부분만 검증하는 데 유용합니다.
- 적용 예시: DynamoDB
GetCommand
에 전달되는 객체의TableName
과Key
필드만expect.objectContaining
으로 검증하여 테스트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개발 임팩트
- 외부 의존성이 있는 코드에 대한 테스트 작성 용이성을 높여, 코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
- 테스트 커버리지를 실제적으로 높여 회귀 버그를 사전에 방지합니다.
- 개발자가 외부 라이브러리의 변경 사항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체 로직에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콘텐츠 내에서 커뮤니티 반응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습니다.)
📚 관련 자료
jest
Jest는 JavaScript 테스트 프레임워크로, 본문에서 설명하는 Spies, Asymmetric Matchers 등 모든 테스트 기법의 기반이 되는 핵심 도구입니다.
관련도: 100%
aws-sdk-js-v3
AWS SDK for JavaScript v3는 본문에서 테스트 대상으로 언급된 DynamoDB 클라이언트 및 관련 명령어를 제공하는 공식 라이브러리입니다. SDK의 사용법과 테스트 시나리오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관련도: 95%
aws-cdk
AWS CDK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는 프레임워크로, 테스트 대상인 DynamoDB 테이블과 같은 리소스를 프로비저닝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CDK 자체가 테스트 전략을 고려하여 설계되므로 관련성이 높습니다.
관련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