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ON Web Token (JWT) 완벽 가이드: 구조, 작동 방식 및 보안 모범 사례
🤖 AI 추천
웹 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API 개발자, 인증/인가 시스템 설계에 관심 있는 모든 개발자에게 권장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JSON Web Token(JWT)은 RFC 7519에 정의된 표준으로, JSON 객체를 사용하여 당사자 간에 안전하게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컴팩트하고 자체 서명되어 데이터의 무결성과 인증을 보장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구조: JWT는 Header.Payload.Signature
세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 Header: 토큰의 메타데이터(토큰 유형 'JWT', 서명 알고리즘 HS256, RS256 등)를 포함하며, Base64Url로 인코딩됩니다.
* Payload: 사용자 정보(claims)와 추가 데이터를 포함하며, Base64Url로 인코딩됩니다. 페이로드 내용은 디코딩하면 누구나 읽을 수 있으므로 민감한 정보는 저장하지 않아야 합니다.
* Signature: 헤더와 페이로드를 인코딩한 값, 비밀 키 또는 공개/개인 키 쌍, 그리고 헤더에 명시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생성됩니다. 이 서명은 토큰의 무결성과 인증을 보장합니다.
* 인코딩: 헤더, 페이로드, 서명은 모두 Base64Url로 인코딩됩니다.
* 작동 방식: 사용자 로그인 -> 서버에서 JWT 생성 (클레임 포함, 비밀 키로 서명) -> 클라이언트로 토큰 전송 및 저장 (localStorage, cookie) -> 클라이언트가 보호된 리소스 접근 시 HTTP Authorization 헤더에 JWT 포함 (Bearer token) -> 서버에서 토큰 유효성(구조, 형식, 내용) 및 서명 검증.
개발 임팩트: JWT는 상태 비저장(stateless) 인증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서버 부하를 줄이고 확장성을 높입니다. API 보안 및 사용자 세션 관리에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보안 모범 사례:
*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JWT를 전송해야 합니다.
* 토큰의 만료 시간을 설정하여 보안 위험을 줄여야 합니다.
* localStorage보다는 HttpOnly 쿠키와 같이 더 안전한 저장 메커니즘을 사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