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의 DDD 적용: 여신 코어 시스템 구축 경험 공유
🤖 AI 추천
복잡한 도메인 기반의 백엔드 시스템을 DDD(Domain-Driven Design)로 구축하고자 하는 백엔드 개발자,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그리고 레거시 시스템 개선을 고려하는 개발자들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카카오페이는 금융 규제 샌드박스 통과 후, 소액 후불결제(BNPL) 서비스의 여신 코어 시스템을 DDD(Domain-Driven Design) 방법론을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내재화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복잡한 금융 도메인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도메인 전문가와 개발자 간의 원활한 협업을 통해 견고하고 유지보수 용이한 시스템을 구축한 사례입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DDD 개념 적용: 도메인, 유비쿼터스 언어, 바운디드 컨텍스트, 애그리거트, 엔티티, 밸류 오브젝트 등 DDD의 핵심 개념을 여신 시스템 구축에 구체적으로 활용했습니다.
- 시스템 내재화 배경: 외부 솔루션 운영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카카오페이 내부의 전문성 및 소통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DDD 기반의 시스템 재구축을 결정했습니다.
- 프로젝트 팀의 DDD 활용: 도메인 모델, 바운디드 컨텍스트, 애그리거트 정의 및 유비쿼터스 언어를 통한 팀원 간의 명확한 소통으로 도메인 이해도를 높이고 설계를 진행했습니다.
- Bounded Context 설계 원칙: 각 Context를 명확한 도메인 경계로 설정하고,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하위 도메인을 분할하며, Gradle 모듈 단위로 관리했습니다.
- Aggregate Root 정의: 데이터 일관성 유지의 트랜잭션 경계로 삼고, Aggregate Root를 통해서만 내부 객체 접근 및 수정을 제어했습니다.
- 도메인 모델 설계 원칙: 최대한 작은 단위로 분할하고, 도메인 종속 데이터의 유일한 관리 및 제어, 비즈니스 규칙 포함에 집중했습니다.
- Application Level 구현: 도메인 기능을 기반으로 Application Level을 구현하여 정책 관련 소스코드의 일원화를 이루고, 기능 중복 및 분산을 최소화했습니다.
- 코드 가시화 및 리뷰: PlantUML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흐름을 시각화하고 팀 리뷰를 통해 설계 완성도를 높여, 개발 고민 시간 및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절감했습니다.
- 도메인 중심 설계: Application이 JPA Entity에 직접 접근하는 것을 막고, 도메인 객체를 통한 Command 전달 및 DomainRepository를 통한 JPA Entity 변환으로 도메인 설계의 유연성을 확보했습니다.
- 코드 예시: 가입 기능 구현 시 여러 도메인 모듈(사용자, 계좌, 한도)을 의존성 설정하여 활용하는 방식과 계좌 도메인 생성 시
CreateCommand
를 사용하는 예시를 제시했습니다. - Domain Entity Code Conventions: 생성자 외부 노출 방어,
internal set
을 통한 모듈 내 변경 제어, public Command class 활용 등을 통해 코드의 안정성과 응집도를 높였습니다.
개발 임팩트
DDD를 적용하여 복잡한 여신 시스템의 도메인 모델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도메인에 집중시킴으로써 코드의 이해도를 높이고 분석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얻었습니다. 또한, 도메인 중심의 설계는 향후 시스템의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커뮤니티 반응
본 콘텐츠는 특정 커뮤니티 반응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DDD 방법론 자체가 복잡계 시스템 설계에 대한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주목받는 주제임을 시사합니다.
📚 관련 자료
ddd-by-example
DDD의 핵심 개념들을 간단한 예제를 통해 설명하며, 책에서 소개된 주요 개념들을 코드로 구현한 저장소입니다. 이를 통해 DDD의 원칙과 실천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도: 95%
domain-driven-rails
Ruby on Rails 프레임워크에서 DDD를 적용하는 다양한 패턴과 접근 방식을 보여주는 저장소입니다. 금융 도메인과 같은 복잡한 비즈니스를 Rails 환경에서 어떻게 설계하고 구현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관련도: 85%
ddd-aggregates
DDD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Aggregates를 .NET 환경에서 어떻게 설계하고 관리하는지에 대한 구현 예시를 제공합니다. 이는 데이터 일관성 유지와 트랜잭션 경계 설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관련도: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