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파일 편집의 기초: Vi/Vim 명령어 완벽 가이드

🤖 AI 추천

이 콘텐츠는 Linux 환경에서 파일 편집을 처음 시작하는 주니어 개발자나 터미널 기반 편집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CLI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파일 관리를 배우고 싶은 개발자들에게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 Development

핵심 기술: 이 콘텐츠는 Linux 운영체제에서 파일을 생성, 편집, 저장하는 기본적인 CLI 도구인 vi (또는 vim)의 사용법을 안내합니다. nano 에디터와의 비교를 통해 vi의 선호 이유를 제시하고, 파일 조작을 위한 필수 명령어들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vi 사용법: vi <파일명> 명령어로 파일 열기 및 편집 시작.
* 모드 전환: i (삽입 모드 시작), ESC (명령 모드 복귀).
* 저장 및 종료: :wq (저장 후 종료), :q! (저장 안 하고 강제 종료).
* 파일 내용 확인: cat <파일명> 명령어로 파일 내용 출력.
* echo 명령어: 파일 생성, 내용 쓰기, 덮어쓰기 등에 활용.
* vi 핵심 편집 명령어:
* i: 커서 위치에서 삽입
* a: 커서 뒤에서 삽입
* A: 줄 끝에서 삽입
* ESC: 삽입 모드 종료
* u: 마지막 변경 취소
* U: 현재 줄 전체 변경 취소
* o: 새 줄 열고 삽입 모드 시작
* dd: 현재 줄 삭제
* 3dd: 세 줄 삭제
* D: 커서부터 줄 끝까지 삭제
* C: 커서부터 줄 끝까지 삭제 후 새 텍스트 삽입 (ESC로 종료)
* dw: 단어 삭제
* 4dw: 네 단어 삭제
* cw: 단어 변경
* x: 커서 아래 문자 삭제
* r: 커서 문자 교체
* R: 커서부터 문자 덮어쓰기
* s: 커서 아래 문자 하나 치환 후 삽입 모드
* S: 현재 줄 전체 치환 후 시작 부분에서 삽입 모드
* ~: 대소문자 변경

개발 임팩트: CLI 환경에서의 파일 편집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서버 관리, 스크립트 작성 등 다양한 개발 작업에서 필수적인 기술이며, 숙련 시 개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본문에서는 커뮤니티 반응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