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P 서버를 NGINX와 Supergateway를 활용하여 안전하게 배포하는 방법
🤖 AI 추천
이 콘텐츠는 Model Context Protocol (MCP) 서버를 로컬 환경이 아닌 서버 환경에서 안전하게 배포하고 운영하려는 백엔드 개발자 및 DevOps 엔지니어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NGINX를 통한 기본적인 인증 설정 및 Supergateway를 활용한 MCP 통신 방식 전환에 관심 있는 개발자에게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Model Context Protocol (MCP) 서버를 로컬 환경을 넘어 서버 환경에서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배포 및 보안 전략을 제시합니다. NGINX와 Supergateway를 활용하여 MCP의 stdio 기반 통신을 HTTP SSE 방식으로 전환하고, Basic Authentication을 통해 엔드포인트를 보호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MCP 통신 방식: stdio (로컬)와 HTTP via SSE (원격) 방식 설명.
- Supergateway 활용: stdio 기반 MCP 서버를 SSE 또는 WebSockets으로 노출하는 방법.
- 예시 명령어:
npx -y supergateway --stdio "npx -y @openbnb/mcp-server-airbnb" --port 8000 --baseUrl
- 예시 명령어:
- NGINX 설정: MCP 서버 앞단에 NGINX를 배치하여 Basic Authentication 적용.
auth_basic
,auth_basic_user_file
지시어를 사용한 인증 구성.proxy_pass
를 이용한 백엔드 서버로의 요청 전달.- SSE 통신을 위한 타임아웃 및 헤더 설정 (
proxy_read_timeout
,keepalive_timeout
등).
- Dockerize 및 배포: Render에 배포하기 위한 Dockerfile 구성 예시.
- 필수 패키지 설치 (curl, nginx, apache2-utils, nodejs).
- NGINX 설정 파일 복사 및
.htpasswd
파일 생성. CMD
를 통한 NGINX 및 Supergateway 동시 실행.
- 인증 정보 전달: Claude에서 인증된 MCP 서버를 사용하는 방법.
- Basic Auth의 Base64 인코딩된 헤더 (
Authorization: Basic <<your-base64-key>>
) 사용. - Supergateway의
--header
옵션 활용 예시.
- Basic Auth의 Base64 인코딩된 헤더 (
- 보안 강화: OAuth 2.1 (초안) 및 기타 보안 메커니즘 언급.
개발 임팩트
로컬 환경에 국한되었던 MCP 서버를 실제 서비스 환경으로 확장 가능하게 하며, 민감한 데이터 접근 가능성이 있는 경우 기본적인 보안 수준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AI 어시스턴트 기능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더욱 유연하고 안전하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자료
supergateway
MCP 서비스를 HTTP SSE 또는 WebSockets으로 쉽게 노출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 도구로, 본문의 주요 기술 중 하나입니다.
관련도: 95%
mcp-server-airbnb
본문에서 예시로 사용된 MCP 서버 구현체로, 실제 MCP 서버의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관련도: 80%
nginx
웹 서버 및 리버스 프록시로서 MCP 서버의 프런트엔드를 구성하고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관련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