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러닝 엔지니어를 위한 밀도 높은 소수 인원 협업 및 주도적 개발 문화 가이드

🤖 AI 추천

당근의 머신러닝 엔지니어가 광고 추천 엔진 개발 프로젝트에서 경험한 밀도 높은 소수 인원 협업 방식과 주도적인 개발 문화를 공유하는 글로, 소규모 팀의 생산성 향상, 원격 협업 효율 증대, 코드 품질 개선 및 팀 내 지식 공유에 관심 있는 머신러닝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및 개발 리더에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머신러닝 엔지니어를 위한 밀도 높은 소수 인원 협업 및 주도적 개발 문화 가이드

핵심 기술: 본 글은 광고 추천 엔진 개발에서 머신러닝 엔지니어 두 명이 밀도 높은 협업을 통해 ML 학습 파이프라인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TFX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파이프라인 설계 및 개발, 효율적인 원격 협업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코드 품질 향상을 위한 페어 프로그래밍 및 코드 리뷰 프로세스 개선이 주요 내용입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ML 학습 파이프라인 분리: 기존 전사 레포에서 광고 추천 모델 학습 파이프라인을 새로운 레포로 분리하여 생산성 향상 및 독립적인 개발 환경 구축.
* TFX 프레임워크 활용: 전체 ML 학습 파이프라인(데이터셋 생성, 전처리, 텐서 변환, 모델 학습)을 TFX 기반으로 처음부터 설계 및 개발.
* 맥락 공유 및 싱크: 소수 인원이 밀도 높게 협업하기 위해 데일리 스레드를 활용한 작업 상황 공유, 10분 스크럼 진행, 설계 방향 토론 등 적극적인 소통.
* 원격 페어 프로그래밍: Zoom과 VS Code Live Share를 활용하여 코딩 과정에서의 실시간 코드 리뷰 및 사고방식 공유.
* 프로세스 자동화 및 지식 공유: GitHub Actions를 이용한 PR 자동 리뷰어 배정으로 코드 리뷰 속도 향상, 팀 내 지식 공유 증진 및 버스 팩터 감소.
* 주도적 개발 문화: 회사나 팀 차원의 제안이 아닌, 팀원의 자발적 아이디어에서 시작된 pCTR 모델 대회 참여 경험을 통해 바텀업 문화 체감.

개발 임팩트:
* 소수 인원이 복잡한 ML 파이프라인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개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
* 원격 근무 환경에서도 긴밀한 협업 및 코드 품질 유지가 가능함.
* 팀 내 지식 공유를 촉진하고 코드 리뷰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을 높임.
* 주도적인 개발 문화를 통해 개인의 성장과 프로젝트 성공의 선순환 구조를 만듦.

커뮤니티 반응:
* 글에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은 언급되지 않았으나, 당근의 '바텀업' 프로젝트 문화와 엔지니어의 주도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