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레포에서의 불안정한 테스트(Flaky Tests) 해결 전략: 격리 파이프라인과 실전 해킹
🤖 AI 추천
모노레포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불안정한 테스트로 인해 CI/CD 파이프라인의 안정성과 배포 속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개발자, DevOps 엔지니어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특히 CI/CD 파이프라인의 효율성을 높이고, 테스트 실패로 인한 개발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자 하는 미들 및 시니어 레벨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모노레포에서의 불안정한 테스트(Flaky Tests) 해결 전략
핵심 기술: 모노레포 환경에서 발생하는 불안정한 테스트(Flaky Tests)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격리 파이프라인(Quarantine Pipeline)과 같은 실질적인 해결책을 통해 CI/CD 파이프라인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불안정한 테스트의 원인: Race conditions (비동기 코드 타이밍 이슈), Shared state (테스트 간 상태 간섭), External dependencies (외부 API, DB 등 의존성 문제).
* 모노레포에서의 영향: 하나의 불안정한 테스트가 전체 프로젝트의 배포를 차단하는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탐지 도구: Jest Circus, pytest-flake-finder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N번 반복 실행하여 불안정성을 탐지합니다.
* 예시 명령어: npm test -- --ci --runInBand --detectOpenHandles --testFailureRetry=3
* 격리 파이프라인 구축: 불안정한 테스트를 위한 별도의 파이프라인/잡을 생성하여 메인 CI/CD 파이프라인을 방해하지 않도록 분리합니다.
* 메인 파이프라인: npm test -- --excludeFlaky
* 격리 파이프라인: npm test -- --onlyFlaky
* 격리 파이프라인 장점: 메인 파이프라인은 빠르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불안정한 테스트는 배포를 차단하지 않고 나중에 실행됩니다.
* 격리 파이프라인 내 재시도: 격리 파이프라인에서만 실패한 테스트를 재시도하여 근본 원인 파악에 집중합니다.
* 예시 설정: retry: max: 2
* 실전 해킹 (Battle-tested Hacks):
* 데이터베이스 격리: Docker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테스트마다 신선한 DB 인스턴스를 사용합니다.
* 테스트 순서 무작위화: jest --shuffle
과 같이 테스트 실행 순서를 무작위화하여 순서 의존성을 제거합니다.
* Grace Periods 추가: 비동기 작업이나 느린 API 호출에 대해 jest.setTimeout()
등을 사용하여 충분한 타임아웃을 설정합니다.
* 실제 사례: 20개 프로젝트 모노레포에서 30%의 배포 실패율을 격리 파이프라인 도입 후 2주 만에 80% 감소시킨 사례를 소개합니다.
개발 임팩트: 불안정한 테스트로 인한 CI/CD 파이프라인의 실패율을 현저히 감소시켜 배포 안정성을 높이고, 개발팀의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테스트 품질 관리 문화를 조성하여 장기적으로 코드베이스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글의 내용 자체에 커뮤니티 반응은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으나, 불안정한 테스트는 개발자들에게 매우 흔하고 고통스러운 문제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주제입니다. CircleCI, Buildkite 등 플래그 테스트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도구들의 언급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업계의 관심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