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flix의 월드클래스 인프라: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부터 CDN까지 심층 분석

🤖 AI 추천

대규모 스트리밍 서비스의 기술적 복잡성을 이해하고,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 CDN 설계, 마이크로서비스 운영, ML 기반 개인화, 그리고 안정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법론에 관심 있는 백엔드 개발자, DevOps 엔지니어, 시스템 아키텍트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Netflix의 월드클래스 인프라: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부터 CDN까지 심층 분석

핵심 기술: Netflix는 AWS 기반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를 통해 2.6억 이상의 구독자에게 고품질 비디오와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하며, 이는 고도로 분산된 마이크로서비스, 자체 CDN, 머신러닝 기반 추천 시스템, 그리고 카오스 엔지니어링을 통한 시스템 안정성 확보로 구현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클라우드 이전 및 아키텍처: 2008년 AWS로 마이그레이션하여 모놀리식에서 분산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전환했습니다.
* AWS 서비스 활용: EC2 (동적 워크로드), S3 (자산 및 백업), RD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DynamoDB (NoSQL), CloudFront (UI 에셋 및 메타데이터)를 핵심 인프라로 사용합니다.
* 마이크로서비스: 1천 개 이상의 독립적으로 배포, 버전 관리되는 마이크로서비스가 REST, gRPC, Apache Kafka로 통신합니다.
* 비디오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FFmpeg 기반의 트랜스코딩, 퍼 타이틀 인코딩을 통해 다양한 해상도 및 비트레이트로 최적화된 비디오를 제공합니다.
* Open Connect CDN: ISP 네트워크 내에 구축된 수천 개의 Open Connect Appliance (OCA)를 통해 엣지 캐싱으로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고 대역폭 병목 현상을 해소합니다.
* 개인화 및 ML: 시청 기록, 장치 유형 등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Apache Spark, Flink에서 학습된 ML 모델을 사용하여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하며, Metaflow로 ML 워크플로우를 관리합니다.
* 실험 및 A/B 테스팅: Keystone 도구를 통해 수천 개의 실험을 동시 진행하며 UI 디자인 및 추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합니다.
* 관측 가능성 및 안정성: Atlas (텔레메트리), Titus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Spinnaker (CI/CD), Zipkin & ELK Stack (분산 추적 및 로깅)을 활용합니다.
* 카오스 엔지니어링: Chaos Monkey, Simian Army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탄력성을 사전에 테스트하고 장애에 대비합니다.
* 배포 및 보안: 다중 AWS 리전 배포, 카나리/블루-그린 배포, Lemur (TLS 관리), ConsoleMe (AWS 권한 관리), DRM 및 암호화를 통한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를 적용합니다.

개발 임팩트: AWS의 탄력성과 글로벌 리치를 활용하여 인프라 관리 부담을 줄이고 개발 및 배포 주기를 단축하며, 새로운 시장에 빠르게 진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도로 개인화된 경험과 안정적인 스트리밍 품질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극대화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서 특정 커뮤니티 반응 언급 없음)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