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js App Router, Server Component & Streaming SSR 심층 구현 경험: 성능 개선과 UX 혁신
🤖 AI 추천
이 콘텐츠는 Next.js App Router 환경에서 Server Component와 Client Component를 체계적으로 분리하고, 데이터 프리페칭 및 Streaming SSR을 구축하며 겪었던 실제 경험과 기술적 난제 해결 과정을 공유합니다. 특히 React Query v5를 활용한 Suspense 기반의 최적화, MSW, Jest 업그레이드, lodash 제거 및 es-toolkit 도입과 같은 번들 최적화 경험은 성능 개선에 관심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그리고 풀스택 개발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코드 한 줄이 실제 서비스의 성능과 UX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주니어 개발자부터, 아키텍처 설계 및 최적화 경험을 쌓고자 하는 시니어 개발자까지 폭넓게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본 콘텐츠는 Next.js 14의 App Router 환경에서 Server Component와 Client Component의 체계적인 분리를 중심으로, 데이터 프리페칭 및 Streaming SSR 구축 경험을 상세히 다룹니다. 복잡한 기술적 난제들을 React Query v5, Suspense, useSuspenseQuery
, dehydrate
등을 활용하여 해결하고, 실제적인 성능 개선을 이루어낸 과정을 공유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컴포넌트 분리: Server Component와 Client Component를 데이터 접근 방식, 쿠키 로직, 라이브러리 호환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분리하는 과정.
* 쿠키 로직: 서버 전용 쿠키 접근 및 클라이언트에서의 Proxy API를 통한 전달 구조 전환.
* Streaming SSR: await
없이 비동기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불러오는 SSR 구조 구현 시도.
* await
제거로 인한 queryKey
동기화 문제 및 hydration mismatch
에러 발생.
* force-dynamic
옵션을 활용하여 서버 런타임 강제 유지 및 문제 해결.
* Next.js 14의 자동 정적 최적화와 쿠키 로직 충돌 경험.
* 데이터 프리페칭 (React Query v5):
* await
없이 pending Queries
를 dehydrate
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방식 활용.
* useSuspenseQuery
와 dehydrate
를 통한 구조 개선 및 초기 로딩 속도 향상.
* Suspense 기반 스켈레톤 UI를 통한 일관된 로딩 UX 구현.
* 테스트 및 번들 최적화:
* MSW v2 마이그레이션 (Node.js 환경 호환성 확보).
* Jest v29 업그레이드 (React 18 Suspense 테스트 호환성 보장).
* lodash 제거 및 es-toolkit 도입 (의존성 축소, 타입 안정성 강화).
개발 임팩트:
* 초기 JS 번들 크기 58% 감소: 372kB → 155kB
* CLS (Cumulative Layout Shift) 개선: 데스크톱 0.034 → 0.007
* FCP (First Contentful Paint) 개선: 모바일 7.0s → 2.3s
* Speed Index 개선: 모바일 7.0s → 2.5s
* Lighthouse 점수 향상: 모바일 58 → 79, 데스크톱 89 → 95
* Server Component, Suspense, Streaming SSR을 통한 사용자 경험의 실질적인 개선 체감.
* 아키텍처와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개발의 중요성 인식.
커뮤니티 반응: React Query v5.40.0 버전의 pending Queries
를 dehydrate
하는 기능이 언급되었으며, 이를 통해 개발자가 겪었던 3일간의 헤맴이 해결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