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js 웹사이트 성능 최적화: 어드민 서비스 전략 및 공통 라이브러리 구축 가이드
🤖 AI 추천
이 콘텐츠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웹 성능 최적화에 관심 있는 개발자, 사내 공통 라이브러리 구축을 계획 중인 팀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Next.js 기반 프로젝트의 성능 병목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는 개발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본 분석은 Next.js 기반 웹사이트의 성능 병목 현상을 진단하고, 어드민 서비스 특화 최적화 전략 및 효율적인 사내 공통 라이브러리 구축 방안을 제시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성능 병목 진단:
- 초기 로딩 시 과도한 자바스크립트 (14MB 이상) 로딩 및 불필요한 서드파티 스크립트 사용.
_app.js
파일의 최적화 및 코드 분할 필요성 제기.- 과도한 다국어 데이터 전송, 최적화되지 않은 이미지/폰트 로딩으로 인한 CLS 발생.
__buildManifest.js
파일을 통한 Next.js 번들 분석.
-
어드민 서비스 성능 최적화 전략:
- 주요 기능 성능 우선: 로그인 후 주요 기능 사용 시 인터랙션 및 성능(INP, TTI)에 집중.
- 공격적인 코드 분할 및 지연 로딩: 무거운 라이브러리 분리 및 필요한 기능만 로드.
- 데이터 처리 및 렌더링 최적화: 필요한 데이터만 가져오고 DOM 요소 수 최소화, 디바운스/스로틀 적극 활용.
- 캐싱 활용: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정적 에셋, API 응답 캐싱을 통한 네트워크 요청 감소.
-
사내 공통 라이브러리 구축 방안:
- 마이크로 서비스 분리: 서비스 안정성, 공통 라이브러리 활용, 코드 품질, 배포/유지보수 용이성 증대를 위한 서비스별 분리 고려.
- 모노레포 구조 및 패키지 빌드/배포: 효과적인 공통 라이브러리 개발을 위한 선행 작업.
- 브라우저 지원 범위 통일: 불필요한 폴리필/트랜스파일 최소화를 위한
browserslist
관리.
-
우선 적용 개선 항목:
lodash
와 같이 트리쉐이킹 되지 않는 라이브러리 제거 또는 대체.__app.tsx
의 불필요한 코드 이관.- 서드파티 라이브러리에
async
/defer
속성 적용. - CLS 유발 요소를 리액트에서 CSS 미디어 쿼리로 변경.
-
분석 도구 및 기술 스택 확인:
- Chrome DevTools, WebPageTest 활용.
- Next.js (Page Router 추정), React 17.0.2, Emotion, Apollo Client, React Query, Axios, i18next, Day.js, uuid, Lodash, Datadog SDK, Zustand 사용.
- AWS CloudFront 사용 (IP 주소 0.0.0.0으로 표기).
개발 임팩트
제시된 최적화 방안 적용을 통해 웹사이트의 로딩 속도 및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키고, 특히 어드민 서비스의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잘 설계된 사내 공통 라이브러리는 장기적인 개발 생산성 및 코드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콘텐츠 제공자는 다른 개발자에게 해당 분석 및 제안 내용을 추천할 의향이 있다고 밝히며, 막연했던 성능 최적화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높은 만족도를 표했습니다.
📚 관련 자료
Next.js
Next.js의 아키텍처, 성능 최적화 기능 (코드 분할, SSR 등) 및 관련 도구 (`__buildManifest.js`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여 분석 내용과 높은 연관성을 가집니다.
관련도: 95%
React
콘텐츠에서 언급된 React 기반 프로젝트의 성능 개선, 특히 UI 렌더링 및 상태 관리에 대한 최적화 방안은 React의 근본적인 이해와 직결됩니다.
관련도: 85%
lodash
트리쉐이킹되지 않는 lodash 라이브러리의 대체 및 최적화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해당 라이브러리의 특징과 대안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관련도: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