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HTTPS 서버 구축: TLS/SSL 기본부터 자체 CA 인증서 생성까지

🤖 AI 추천

백엔드 개발자, 인프라 엔지니어, 보안에 관심 있는 개발자

🔖 주요 키워드

Node.js HTTPS 서버 구축: TLS/SSL 기본부터 자체 CA 인증서 생성까지

핵심 기술

이 콘텐츠는 백엔드 엔지니어링의 핵심인 노드 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TLS(Transport Layer Security)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Node.js 환경에서 자체 CA(Certificate Authority) 및 서버 인증서를 생성하여 HTTPS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백엔드 엔지니어링의 본질: 두 개 이상의 노드가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는 것.
  • TLS의 역할: 인터넷 통신 중 데이터 패킷의 기밀성, 무결성, 인증을 보장하여 중간자 공격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
  • TLS 작동 방식: 송신자와 수신자만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하며, '핸드셰이크' 과정을 통해 안전한 통신 채널을 협상.
  • 자체 CA 및 서버 인증서 생성:
    • mkdir certs && touch server.js : 작업 폴더 및 서버 파일 생성.
    • openssl genrsa -out ca-key.pem 4096: CA 개인 키 생성.
    • openssl req -x509 -new -nodes -key ca-key.pem -days 3650 -out ca-cert.pem -subj "...": 자체 서명된 CA 인증서 생성.
    • openssl genrsa -out server-key.pem 4096: 서버 개인 키 생성.
    • openssl req -new -key server-key.pem -out server.csr -subj "...": 서버 인증서 서명 요청(CSR) 생성.
    • openssl x509 -req -in server.csr -CA ca-cert.pem -CAkey ca-key.pem -CAcreateserial -out server-cert.pem -days 365: CA로 서버 인증서 서명.
  • Node.js HTTPS 서버 구현:
    • import https from "node:https": Node.js의 내장 https 모듈 사용.
    • TLS 인증서 (key, cert)를 https.createServer에 전달하여 서버 인스턴스 생성.
    • server.listen(PORT, ...): HTTPS 서버 실행.
  • 클라이언트 연결 및 오류 처리:
    • curl 명령어 사용 시, 자체 서명된 인증서는 OS에서 신뢰되지 않아 SEC_E_UNTRUSTED_ROOT 오류 발생.
    • curl -k 옵션을 사용하여 신뢰할 수 없는 인증서를 허용하고 연결.

개발 임팩트

  • 내부 시스템, 파이프라인, IoT, 분산 시스템 등에서 커스텀 TLS를 통한 보안 강화.
  • 보안적인 통신 채널 구축 능력을 배양.
  • 개발 및 테스트 환경에서 자체 인증서를 활용하여 HTTPS 적용.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서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 언급은 없으나, HTTPS/TLS 설정 및 자체 인증서 생성은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빈번하게 다루어지는 주제임)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