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OP, 대규모 프로젝트의 함정에 빠지다: C++ UI 프레임워크 개발자의 고백
🤖 AI 추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의 장단점, 특히 대규모 프로젝트에서의 복잡성 문제에 대해 깊이 고민하는 개발자, C++과 같은 강력한 타입 언어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개발자, 또는 ECS(Entity-Component-System)와 같은 대안적인 아키텍처 패턴에 관심 있는 개발자에게 이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 주요 키워드
핵심 기술: 이 글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이 대규모 프로젝트, 특히 C++과 같은 강력한 타입 시스템을 가진 언어에서 겪을 수 있는 근본적인 어려움을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조명합니다. 컨테이너에서의 이질적인 객체 처리, 폴리모피즘의 한계, 디자인 패턴의 과도한 의존성 등을 지적하며 대안 아키텍처를 제시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컨테이너와 폴리모피즘의 한계: JavaScript와 달리 C++에서 이질적인 객체를 하나의 컨테이너에 담기 위해 폴리모피즘을 사용하지만, 이는 객체의 고유한 행동(메서드)을 숨기고 dynamic_cast
와 같은 런타임 위험성을 내포한 캐스팅을 유발합니다.
* 기반 클래스 설계의 어려움: 모든 가능한 행동을 기반 클래스에 미리 정의하려는 시도는 비실용적이며, dynamic_cast
기반의 태그 시스템은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듭니다.
* OOP의 문제점: 저자는 OOP가 본질적으로 많은 디자인 문제를 야기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더 많은 디자인 패턴이 필요하게 되는 악순환을 비판합니다.
* 대안 아키텍처 제안:
* Entity-Component-System (ECS): 데이터 중심,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
* Procedural + "Dead Objects": 행위 없는 상태만 가진 객체.
* Unions / std::variant
/ Algebraic Types: 열거형의 확장.
* OOP Inheritance: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
* 실제 적용: GUI 프로젝트에 Sparse Set ECS 시스템을 적용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음을 언급합니다.
개발 임팩트: OOP의 이론적 우아함과 실제 대규모 프로젝트 적용 시 발생하는 복잡성과 유지보수 비용 사이의 간극을 보여주며, 개발자가 프로젝트 초기 설계 단계에서 아키텍처 선택의 중요성을 인지하도록 합니다. ECS와 같은 대안 아키텍처의 실용성을 강조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글에서는 '가장 유능한 엔지니어들조차 대규모 OOP를 싫어한다'는 내용을 인용하며, 개발자 커뮤니티 내에서도 OOP의 복잡성에 대한 공감대가 있음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