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greSQL 어드바이저리 락과 함께 찾아온 보이지 않는 교착 상태: 추적 및 해결 가이드

🤖 AI 추천

백엔드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그리고 동시성 문제를 자주 겪는 모든 개발자는 PostgreSQL에서의 어드바이저리 락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미묘한 교착 상태 문제와 그 해결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이 콘텐츠를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복잡한 트랜잭션 로직이나 여러 동시 작업이 동일한 데이터 리소스에 접근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주요 키워드

PostgreSQL 어드바이저리 락과 함께 찾아온 보이지 않는 교착 상태: 추적 및 해결 가이드

핵심 기술: 이 콘텐츠는 PostgreSQL의 advisory_lock 기능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교착 상태(deadlock)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탐지 및 해결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 특히 log_lock_waits 설정을 놓쳤을 때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방안에 초점을 맞춥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문제 현상: Sidekiq 워커가 오류나 타임아웃 없이 무한정 멈추는 현상, PostgreSQL 로그에 교착 상태 기록이 남지 않음.
* 원인: 어드바이저리 락이 PostgreSQL의 기본 교착 상태 탐지 메커니즘을 우회하여 발생하는 숨겨진 교착 상태.
* Job A: Order #123을 어드바이저리 락으로 잠금.
* Job B: 동일 프로세스 내에서 Order #123을 트랜잭션으로 업데이트 시도.
* Job A: Job B가 잠근 다른 테이블을 쿼리하여 교착 상태 발생.
* 탐지 방법: pg_stat_activity 뷰를 사용하여 Lock 이벤트 대기 중인 워커를 확인.
* 해결 방안:
* postgresql.conf 설정: log_lock_waits = ondeadlock_timeout = 1s 활성화.
* 어드바이저리 락 사용 시 트랜잭션 외부에서 호출: with_advisory_lock 블록을 트랜잭션 블록 외부에 배치.
* 트랜잭션 내 불필요한 작업 분리: 로깅 등 비중요 작업을 트랜잭션 외부로 이동.
* 거대 작업 분할: 멱등성(idempotent)을 가진 작은 단위의 작업으로 분할.
* FOR UPDATE SKIP LOCKED 사용: 경쟁 상황에서 특정 행을 놓치고 다음으로 넘어가도록 처리.
* Lock! NOWAIT 사용: 잠금이 즉시 불가능할 경우 즉시 실패하여 재시도 로직을 태우도록 함.
* 동시성 테스트: 로컬 환경에서 여러 스레드를 생성하여 동시성 테스트 (10.times.map { Thread.new { Job.perform_now } }.each(&:join)).

개발 임팩트: 어드바이저리 락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파악하기 어려운 교착 상태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여 시스템 안정성과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트랜잭션 관리 및 작업 분할 전략을 통해 견고한 동시성 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반응: 콘텐츠 말미에 "Have you battled phantom deadlocks? Share your war stories below."라는 문구를 통해 독자들의 경험 공유를 유도하며 커뮤니티 참여를 장려합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