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PostgreSQL, Grafana를 활용한 케냐 대외부채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및 시각화

🤖 AI 추천

데이터 엔지니어링, 백엔드 개발자, 데이터 분석가에게 이 콘텐츠는 World Bank API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Python을 사용하여 전처리하며, PostgreSQL에 저장하고, Grafana로 시각화하는 전체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과정을 실무적으로 안내합니다. 특히 API 연동, 데이터 정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각화 도구 활용 경험을 쌓고자 하는 개발자들에게 유용합니다.

🔖 주요 키워드

Python, PostgreSQL, Grafana를 활용한 케냐 대외부채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및 시각화

핵심 기술: 본 프로젝트는 World Bank API에서 케냐의 대외부채 데이터를 추출, Python (Pandas)으로 가공, PostgreSQL에 저장, Grafana로 시각화하는 전 과정을 다루는 엔드투엔드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사례입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데이터 소스: World Bank Public Data API를 사용하여 외부 부채 데이터 확보
* 데이터 추출: Python requests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API 엔드포인트에서 데이터 GET 요청
* 데이터 전처리: Pandas DataFrame을 사용하여 필요한 필드 (국가, 날짜, 값) 추출, 누락 값 처리 (dropna), 날짜 포맷 변환 (pd.to_datetime)
* 데이터 저장: SQLAlchemy와 psycopg2를 사용하여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고, Pandas DataFrame을 to_sql 함수로 저장 (if_exists='replace' 옵션 사용)
* 데이터 시각화: PostgreSQL과 Grafana를 연동하여 총 대외부채 변화 추이 (Line Chart) 및 연간 부채 변화 (Bar Chart) 시각화
* 보안 강화: .env 파일 및 python-dotenv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접속 정보 관리

개발 임팩트:
* 실제 공공 API를 활용한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경험 제공
* 데이터 추출, 정제, 저장, 시각화에 이르는 전체 데이터 워크플로우 이해도 증진
* Python, Pandas, PostgreSQL, Grafana 등 데이터 엔지니어링 및 분석에 필수적인 도구 활용 능력 향상
*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위한 시각화 대시보드 구축 능력 강화

커뮤니티 반응: (언급 없음)

톤앤매너: 실무적인 기술 적용과 단계별 가이드에 초점을 맞춘 전문적이고 명확한 톤을 유지합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