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시즘 밋업 프로젝트 회고: 사랑꾼 서비스 개발 경험 (Vite, PWA, MSW, Vitest 활용)

🤖 AI 추천

이 콘텐츠는 큐시즘 학회에서 진행된 밋업 프로젝트의 개발 회고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Vite, PWA, MSW, Vitest와 같은 현대적인 웹 기술 스택을 활용하여 '사랑꾼'이라는 커플 캘린더 서비스를 개발한 과정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아이디어 선정 기준, 기술 스택 선택 이유, PWA 및 MSW 적용 경험, Vitest를 활용한 테스트 코드 작성 등 실질적인 개발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어, 실무 프로젝트를 경험하고자 하는 대학생 개발자, 프론트엔드 개발 역량을 향상시키고 싶은 주니어 개발자, 그리고 새로운 기술 스택 도입을 고려하는 개발자에게 매우 유용할 것입니다. 또한, 학회 활동을 통한 네트워킹 및 협업 경험, 최종 발표 및 부스 운영 등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주요 키워드

큐시즘 밋업 프로젝트 회고: 사랑꾼 서비스 개발 경험 (Vite, PWA, MSW, Vitest 활용)

핵심 기술: 본 회고록은 "사랑꾼"이라는 커플 캘린더 서비스 개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Vite 기반의 PWA 구현, MSW를 활용한 API Mocking, Vitest를 이용한 단위 테스트 작성 등 프론트엔드 개발의 핵심 기술 및 실무 적용 경험을 공유합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학회 활동: IT 학회 '큐시즘'의 밋업 프로젝트로, 팀 빌딩부터 아이디어 발제, 2개월간의 개발 과정을 거쳐 MVP를 제작하고 발표하는 실무형 커리큘럼을 따름.
* 프로젝트 선정 기준: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새로운 기술/도전 경험, 제한된 기간 내 MVP 완성 가능성, 실제 사용자 확보 용이성을 기준으로 "사랑꾼" 서비스(곰신 커플 대상 공유 캘린더) 선정.
* 기술 스택: TypeScript, React, Vite, PWA, Tailwind CSS, shadcn/ui, Zustand, React Query, Axios, MSW, Vitest 등을 활용.
* PWA 적용: Vite PWA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메니페스트 및 서비스 워커 등록을 간소화하고 앱과 유사한 사용자 경험 제공.
* MSW 활용 계획: API Mocking을 통해 백엔드 개발과 병렬 진행을 계획했으나, 초기 세팅 및 UI 개발 집중으로 실제 적용은 못 했고 향후 리팩토링 시 적용 예정.
* Vitest를 활용한 테스트: 날짜 변환 함수 등 재사용 가능한 유틸 함수에 대한 단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여 코드의 안정성과 유지보수성 향상. 향후 통합 및 E2E 테스트 확장 계획.
* 협업 및 네트워킹: 매주 집중 협업 세션, 파트별 토크 세션, '큐밀리 라디오' 등 다양한 네트워킹 활동을 통해 팀 유대감 강화 및 인사이트 공유.
* 결과 발표 및 피드백: 밋업데이에서 MVP 발표 및 시연, 외부인 초청 및 유튜브 라이브 송출, 부스 운영을 통해 실사용자 및 현직 전문가로부터 피드백 수렴.
* 향후 계획: 큐시즘 활동 종료 후에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앱스토어 및 플레이스토어 출시 목표.

개발 임팩트:
* 현대적인 프론트엔드 기술 스택(Vite, PWA, MSW, Vitest)의 실질적인 적용 경험을 통해 개발 역량 향상.
* 실제 사용자 니즈를 반영한 프로덕트 개발 및 출시를 위한 프로세스 경험.
* 협업 및 네트워킹을 통한 시너지 창출 및 커뮤니티 빌딩.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서는 직접적인 커뮤니티 반응은 언급되지 않았으나, 외부인 초청 및 유튜브 라이브 송출을 통해 서비스 인지도를 높이고 잠재 사용자 및 피드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함.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