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기반 맞춤형 AI 어시스턴트 'Juci' 구축: Llama 3.1, Qdrant, LangChain 활용 사례

🤖 AI 추천

이 문서는 특정 도메인 지식에 기반한 고정밀 AI 어시스턴트 구축에 관심 있는 백엔드 개발자, AI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LLM을 로컬 환경에서 운영하고, 벡터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RAG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실질적인 경험을 쌓고자 하는 미들 레벨 이상의 개발자에게 적합합니다.

🔖 주요 키워드

RAG 기반 맞춤형 AI 어시스턴트 'Juci' 구축: Llama 3.1, Qdrant, LangChain 활용 사례

핵심 기술: 특정 도메인 지식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RAG) 아키텍처를 활용한 대화형 AI 어시스턴트 개발 사례를 상세히 다룹니다. 로컬 LLM, 벡터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오케스트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조합하여 데이터 주권과 커스터마이징을 극대화하는 접근 방식이 특징입니다.

기술적 세부사항:
* 코어 LLM: Llama 3.1 8B를 Ollama를 통해 로컬 환경에서 서빙하여 데이터 독립성과 보안을 확보합니다.
* 임베딩 모델: mixedbread-ai/mxbai-embed-2d-large-v1을 Hugging Face를 통해 사용하여 텍스트를 고차원 벡터로 변환합니다.
* 벡터 데이터베이스: Qdrant를 사용하여 임베딩 벡터를 저장하고 코사인 유사도 기반의 저지연 검색을 수행합니다.
* 오케스트레이션 프레임워크: LangChain을 사용하여 문서 로딩(DataFrameLoader, DirectoryLoader), 텍스트 분할(RecursiveCharacterTextSplitter with chunk_size=500, chunk_overlap=100), Qdrant 및 Ollama 연동 등 전체 파이프라인을 추상화하고 관리합니다.
* 데이터 관리: Qdrant에 chatbot (FAQ) 및 blog (TJAP 뉴스/콘텐츠) 두 개의 컬렉션을 분리하여 저장하고, inserirNovosArquivos 함수를 통해 변경된 문서만 식별하여 점진적으로 업데이트하는 효율적인 메커니즘을 구현합니다.
* RAG 파이프라인: 사용자 쿼리 시 custom_prompt 함수를 통해 chatbot (k=5) 및 blog (k=15) 컬렉션에서 관련 청크를 검색하고, 이들을 종합하여 LLM 프롬프트에 주입합니다. 프롬프트에는 페르소나 엔지니어링 및 가드레일(TJAP 외 주제 답변 금지 등)이 포함됩니다.
* 실행 환경: Python의 socket 모듈을 사용한 TCP 서버를 통해 사용자 상호작용을 관리합니다.

개발 임팩트:
* 정확성 및 신뢰성 향상: LLM의 환각(hallucination)을 줄이고 특정 도메인에 대한 사실 기반의 정확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 데이터 주권 및 보안 강화: 민감한 데이터를 외부 API 의존 없이 로컬 환경에서 안전하게 처리합니다.
* 비용 효율성: 상용 LLM API 사용 비용을 절감합니다.
* 효율적인 지식 베이스 관리: 점진적 업데이트 방식으로 데이터 동기화 시간과 컴퓨팅 자원을 크게 절약합니다.

커뮤니티 반응: (원문에 해당 내용 없음)

톤앤매너: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내용에 집중하며, 실무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기술 스택과 구현 방식을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 관련 자료